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시신은 알아서”…장기기증자 유족들 분통
[헤럴드경제=이슈섹션] 장기 기증자에 관한 미흡한 사후 처리 제도가 도마 위에 올랐다.

9일 SBS의 보도에 따르면 지난 6월 허군영 씨는 24살 된 아들을 갑작스레 잃게 되었다. 허 씨는 아들의 넋을 기리며 장기기증을 결심했다.

또 다른 생명을 살릴 수 있다는 생각에 아들의 장기기증을 한 그는 “장기 적출이 끝나자 후회가 밀려왔다”고 전했다.

그는 “(병원측에서) 수술이 다 끝난 아들의 시신을 데리고 가라고 했다”며 장기 적출 후 시신 수습과정에 대해 분통을 터트렸다. 

[사진=SBS뉴스 영상 캡처]

알고보니 장기기증 수술이 끝난 뒤 시신 수습과 이송 모두 유족의 몫이였던 것.

그는 “(집으로 가는길에) 차가 많이 흔들려서 아들의 시신을 잡았다. 내가 아들의 이 꼴을 보려고 장기기증을 결정했나.. 엄청나게 후회했다”며 허탈한 심정을 전했다.

이에 해당 병원 관계자는 “기증자에 대한 예우에 대한 규정이 되어 있다면 좋겠다”며 시스템의 문제라고 해명했다. 

현재 유족에 대한 지원은 장기조직기증원이 업무협약을 맺은 병원에만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장기이식을 하는 병원 중 약 40%가 협약을 맺고 있지 않다. 협약을 맺지 않아도 병원들이 장기이식 업무를 하는 데 법적으로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자유한국당 성일종 의원은 “임시로 만들어졌던 법 조항인 만큼, 일원화를 위해 개정안을 발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장기를 기증한 사람 573명 중 63%의 유족이 전문인력의 사후관리를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