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공공의 적이 된 프랜차이즈 ①] 프랜차이즈의 한숨… “어쩌다 이 지경까지…”
-한때 퇴직자ㆍ청년 창업자들에 각광
-프랜차이즈 브랜드 숫자도 급증세로
-최근 ‘갑질 고질병’ 다시 수면위 부상
-뿔난 소비자 불매운동 등 ‘동네북’ 돼
-일각 “피해는 정작 가맹점주의 몫으로”

[헤럴드경제=최원혁 기자] 대한민국은 프랜차이즈 공화국이다.

2015년 기준으로 국내에서 하루 평균 114개의 프랜차이즈 가맹점이 새로 개업을 하는 동시에 66곳이 폐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랜차이즈 브랜드 수는 지난해 5000개를 넘어서 관련 시장의 극심한 경쟁 상태를 실감케 했다. 최근 한국공정거래조정원이 발표한 ‘2016년 가맹본부 정보공개서 등록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5237개로 전년도(4844개)와 비교해 8.9% 늘었다. 2015년 기준 가맹점 수도 21만8997개로 전년(20만8104개) 대비 1만893개(5.2%) 증가했다.

이처럼 1979년 도입된 이래 급속한 성장세를 유지하며 시장규모 100조원대로 발전해온 프랜차이즈는 최근 은퇴자들과 청년 예비창업자들을 중심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프랜차이즈 본사 오너들의 범죄나 윤리적 일탈로 브랜드 이미지가 나빠지면 매출이 줄어 고스란히 가맹점주들의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서울 서초구 미스터피자 본사 모습. [사진제공=연합뉴스]

그러나 최근 가맹사업 시장을 들여다보면 연일 뜨겁게 입에 오르내리는 가맹본부나 대표의 갑질하는 현상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고질병이 됐다. 한쪽만 배를 불리는 양육강식의 무대가 되어서는 프랜차이즈 시장의 성장은 기대할 수 없다.

이달초, 미스터피자의 정우현 전 회장이 구속됐다. 정우현 전 MP그룹 회장의 경우 가맹점에 피자 재료인 치즈를 공급하면서 회장의 가족이 운영하는 회사를 중간에 끼워넣어 이른바 ‘치즈통행세’를 챙기는 한편 탈퇴한 가맹점 인근에 직영점을 열어 보복 영업을 하고 과도한 광고비를 떠넘겼다는 의혹으로 검찰이 수사 중이다. 또 유명 김밥 프랜차이즈 B사는 가맹점에 비싼 식재료와 광고비를 강요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의 자료에 따르면 가맹사업법 위반 건수가 2008년에 비해 지난해 2배 이상 증가했다.

프랜차이즈 사업이란 가맹 본사가 영업방식 등의 노하우와 브랜드를 제공하고 가맹점주들은 자본을 들여서 함께 성장해 나아가야 하지만 현실은 ‘갑을 관계’에 가깝다.

호식이두마리치킨 최호식 전 회장의 여직원 성추행 의혹으로 인해 정작 피해를 입은 사람 역시 가맹점주였다. 뿔난 소비자들의 불매운동으로 인한 피해는 아이러니하게도 가맹점주들에게 돌아가고 있는 셈이다. 한 가맹점주는 “성추행 논란 이후 하루 매출이 거의 반 토막이 났다”며 “본부 선전만 믿고 가맹점을 열었다가 매출 부진으로 폐업하거나 불공정한 거래 관행으로 인해 점주들이 손실을 떠안아야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가맹점주는 “계약 해지만큼 무서운 게 없는데 본사가 계약해지 권한을 쥐고 남용하고 있기 때문에 점주는 꼼짝없이 당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공정거래위원회가 BHCㆍ굽네 치킨ㆍ롯데리아 등의 불공정행위 정황을 포착하고 현장 조사에 착수했다. 관계 당국과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최근 이들 3곳을 포함한 프랜차이즈 본사들에 대한 가맹거래법 위반 혐의에 대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시 내의 BHC 매장. [사진제공=연합뉴스]

이처럼 가맹본부 오너 리스크 등의 갑질 논란이 수면 위로 드러나면서 정부의 감독기관들이 ‘개혁 메스’를 꺼냈지만 이런 움직임만으로는 적폐를 해소하기란 쉽지 않다. 

가맹본부의 수익구조 중 하나는 가맹비다. 그러나 로열티를 통해선 ‘마진’을 남길 수 없다. 이에 가맹본부들은 다른 곳에서 수익을 챙기기 시작했다. 가맹본부가 주요 재료를 가맹점에 공급하면서 얻는 마진이 바로 ‘유통수익’이다. 가맹본부가 저렴하게 매입해서 다수의 가맹점에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덩치가 큰 본부는 가맹점보다 물류를 구입하는 자금조달에도 훨씬 유리하다. 보통 다른 유통라인에서 손쉽게 구매할 수 없는 자체 노하우 상품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들인 수익을 가맹본부가 얻는 게 당연하다. 그러나 문제는 대부분의 가맹본부가 과한 수익을 추구다는 점이다. 공급재료 유통을 독점하면 거품은 언제든 만들어 낼 수 있다. 제품을 유통하는 데 부가되는 마진은 공개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오너 친인척들이 식자재 공급 회사를 차려 물품을 공급하는 것도 어렵지 않다. 이처럼 은근슬쩍 ‘통행세’를 잡으면 짭짤한 수익을 올릴 수 있다.

한 가맹점주는 “가맹본점이 재료 기준만 명확히 제시하면 문제가 될 게 없다”며 “계약 전까진 핑크빛 미래를 꿈꾸게 만들어놓고 계약 후엔 각종 비용을 떠넘겨서 갉아먹던 일부 악덕본부의 행태가 이번 계기로 뿌리 뽑히길 바란다”고 말했다.

choig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