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기성정치 뒤엎는 30대 ‘바람’
39세 마크롱 佛대선 돌풍
美 30세 오소프 1위 세몰이
공화 텃밭 조지아 하원보선 이변

혁신기치 실용적 사고 어필
反트럼프정서도 한 요인

프랑스 대선주자로 선거경험이 전무한 39세의 젊은 후보가 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미국에서도 30세의 정치샛별이 공화당 텃밭에서 선전하는 등 ‘이변’을 연출하고 있다. 최근 몇년새 유럽에서 불기 시작한 젊은 정치인 바람이 전세계로 확산되는 분위기다.

30일(현지시간)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 내 전통적인 공화당 텃밭인 조지아주(州)에서 민주당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돌풍의 주역은 바로 30세의 정치신인 존 오소프다. 그는 지난달 18일 조지아주 하원의원 보궐선거에 유일한 민주당 후보로 출마해 1위를 차지하는 대이변을 일으켰다. 득표율도 48.3%로 2위를 차지한 공화당 캐런 핸들(19.7%) 후보를 압도적으로 눌렀다. 이 지역은 1979년부터 38년간 공화당의 손을 들어준 곳으로 민주당 후보가 출마해 공화당 후보를 누른 것 자체가 뉴스다. 오소프와 핸들은 오는 6월 20일 결선투표를 통해 최종 승자를 정한다. 

에마뉘엘 마크롱(왼쪽)과 존 오소프. 사진=AFP연합

WSJ은 민주당 후보의 약진은 오소프 특유의 신선한 매력과 현 대통령인 트럼프에 대한 반감이 결합된 결과라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WSJ/NBC의 취임 100일 여론조사에서 ‘지지율 40%’라는 부진한 성적을 거뒀다.

39세의 프랑스 대선후보 에마뉘엘 마크롱도 오는 7일 최종 결선을 앞두고 있다. 투자은행가 출신으로 올랑드 정권에서 경제장관을 역임한 그는 선거에 첫 출마해 “좌도 우도 아니다”라는 신선한 구호로 중도 표심을 겨냥했다. 그가 만일 결선투표에서 극우정당 르펜 후보를 꺾고 승리할 경우 프랑스 역대 최연소 대통령이 된다. 전세계 서방 주요국 중 가장 젊은 국가 지도자로 신기록을 쓸 것으로 보인다.

마크롱은 심지어 현재 의석 1석도 없는 신생정당(앙마르슈)의 대선후보로 결선행 티켓을 잡았다. 기존 정당과는 거리가 있는 ‘젊은피’가 프랑스 대선판세를 뒤흔든 것이다. 영국 가디언은 마크롱 돌풍이 전통적으로 좌우로 양분된 거대 정당에 질린 유권자들을 끌어들였다고 분석했다.

유럽에서는 최근 몇년 새 30대 정치인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지난해 6월 이탈리아 지방선거에선 37세의 비르지니아 라지가 로마 시장, 31세의 키아라 아펜디노가 토리노 시장으로 당선됐다. 이들은 이념보단 실리를 강조하는 젊은 정당(오성운동) 출신이다. 오스트리아 외무장관인 세바스티안 쿠르츠는 나이가 30세에 불과하다. 그외 스페인, 우크라이나 등도 30대 정치인의 활약이 눈부시다.

국가를 막론하고 젊은 정치인이 뜨는 이유는 ‘혁신’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소프의 인기는 기성정치에 대한 반감과 ‘반(反)트럼프’ 정서가 반영된 결과다. 그의 선거구호도 ‘트럼프를 화나게 하라’였다.

특히 유럽은 영국의 브렉시트 결정과 같은 대형변수와 각국 테러위협 등으로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기존 정치에 대한 불신이 폭발하고 있다. 마크롱 후보는 혁신을 기치로 내걸고 젊은층이 중시하는 실용적 사고를 앞세웠다. 강한 유럽연합 건설과 법인세 인하, 공공부문 일자리 감축 등 좌우이념 경계를 넘나드는 파격 공약으로 표심을 겨냥했다. 그리피스대 던컨 맥도널 교수는 허핑턴포스트에 “유럽의 모든 국가에서 사람들의 정당 지지 성향이 바뀌고 있다”며 이념보단 현실적 문제해결에 초점을 맞춰 표를 던지고 있다고 말했다.

아래로부터 위로 향하는 정치자금 마련과 탄탄한 조직력도 선거전에서 힘을 발휘했다.

WSJ은 “오소프가 모금한 900만달러 상당수가 전국적인 기부로 이뤄졌다”며 “200달러 이상 고액 기부자 중 98%가 타주 거주자”라고 보도했다. 오소프는 “소액 기부자들이 십시일반 모은 풀뿌리 운동의 결과”라며 “워싱턴의 파벌, 막장 정치에 신물 난 사람들이 전국적인 지지를 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오소프의 선거 홈페이지는 자발적 기부와 자원봉사자 모집을 독려하고 있다. 마크롱의 앙마르슈도 자원봉사자들로 이뤄진 ‘풀뿌리부대’로 선거를 치르고 있다. 이는 기성 정당이 위에서 아래로 거대한 자금을 통해 조직을 유지해온 것과 다른 방식이다.

조민선 기자/bonjo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