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첫 스탠딩 토론…그들은 그냥서 있기만 했다
대선후보들 말 그대로 스탠딩
“체력테스트하나” 냉소적
자유토론 방식은 긍정적
1위에 쏠린 청문회는 한계

19일 저녁, 그들은 왜 2시간 동안 꼬박 서 있었을까. 그게 제일 문제였던 ‘스탠딩 토론회’ 였다. 심하게 말하면 ‘체력테스트’ 이상의 의미를 부여할 수 없었다. 다만 첫 시도된 ‘원고없는 난상토론’은 평가할 만하다. 정해진 질의 응답 순서 없이, 개인별로 주어진 시간총량 내에서 펼친 자유토론은 후보자의 새로운 면모를 드러냈다. 그러나 ‘양자토론’이 이뤄지지 않아 깊이있는 대화는 이뤄지지 않았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에게 질문이 집중된 ‘지지율 1위 청문회’가 된 것은 ‘한계’였다. ▶관련기사 3·4·5·10면

유권자들의 높은 관심 속에 ‘2017 대선후보 초청토론’이 지난 19일 오후 10시부터 2시간동안 KBS1 TV를 통해 생중계됐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자유한국당 홍준표, 국민의당 안철수, 바른정당 유승민, 정의당 심상정 대선후보가 참석했다. 시청률조사회사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시청률은 전국 26.4%를 기록했다.

이날 단연 주목을 끈 것은 새로운 형식이었다. 원고가 없었고, 미리 마련된 질의 응답 순서도 없었다. 후보별로 9분이 주어져 총 5명이 45분간 난상토론을 각각 ‘정치ㆍ외교ㆍ안보’와 ‘교육ㆍ경제ㆍ사회ㆍ문화’ 분야로 주제를 나누어 총 두 차례 했다. ‘시간총량제 토론’이다. 일단 과거보다는 진일보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여론조사업체 한길리서치 홍형식 소장은 “과거 토론은 형식적인 공정성을 강조하다보니 논의 흐름이 끊겼는데 이번에는 큰 주제만 던져놓고 자유토론을 붙여 놓으니 훨씬 박진감과 긴박감이 있었다”고 했다. 하지만 지지율 선두 후보에게 질문이 쏠리고, 양자토론은 이뤄지지 않아 깊이있는 논의는 부족했다는 비판도 적지 않았다.

실제 질문은 문 후보에게 집중돼 타 후보로부터 90분간 모두 18개의 질문을 받았다. 안 후보가 14개, 홍 후보가 9개, 유 후보가 3개, 심 후보가 0개 였다. 이날까지의 각종 여론조사상 지지율 순위와 거의 일치한다. 사실상 ‘문재인 청문회’라는 평가가 나왔다. 인터넷에선 방송 직후 “(심)그러니까 문후보님, (유)저기 문후보님, (문)허허허, (안)아닙니다 그렇지 않습니다, (홍)주적은 저기(문)라니까, (사회자) 시간 30초 남았습니다”라는 ‘한줄평’이 올라오기까지 했다.

이렇다보니 어느 한 후보가 또 다른 후보를 겨냥해 특정 의제와 관련한 질문을 남발하거나 상호 정견토론, 정책경쟁보다는 ‘공격’에만 치중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실제로 이날 1차 총량제토론에서는 홍ㆍ유 두 후보가 문ㆍ안 두 후보를 겨냥해 벌인 ‘안보’ 공방에 정치와 외교 현안 논의가 묻혔다. 정치 분야 개헌이나 외교 현안인 미국 도날드 트럼프 대통령-중국 시진핑 주석간 발언 논란은 의제로 전혀 다뤄지지 않았다. 토론 후반부에서는 발언 시간이 남은 두세 후보들만 얘기하는 어색한 상황이 연출되기도 했다. 상호 질문과 답변이 균형있게 배분되지 않았다.

윤종빈 명지대 교수(정치외교학)는 “문, 안 두 후보에 대한 ‘쏠림’ 현상이 너무 심했다”며 “5자 토론이라는 것이 너무 산만할 수 밖에 없는 방식”이라고 했다. “난상토론이 장점도 있지만 깊이 있게 주제를 다루지 못하는 단점도 드러났다”고 했다. 손열 연세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이번 토론의 유일한 장점은 후보들이 얼마나 토론을 해본 사람인지를 통해 토론과 국민과의 소통 능력을 보여줬다는 것 뿐”이라며 “정작 중요한 것은 정책에 대한 비전과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인데 그것은 전문 패널이 질문하는 방식이 국민들에게 더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손 교수는 ‘스탠딩 형식’은 한번으로 족하다”고 했다. 후보들이 정해진 자리에서 움직임 없이 선 채로 임하는 토론 방식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 윤 교수는 “자기 자리에 앉아서 하는 것과 뭐가 다르냐”며 “위치를 바꿔가며 대답하는 사람이 앞쪽에 나온다든지 역동적인 동선이 나와야지 그렇지 않으면 무의미하다”고 했다

이번 토론 전반에 대해서는 역시 지지율 최약체로 꼽히는 유ㆍ심 두 후보가 가장 선전했으며 양강인 문ㆍ안 두 후보가 고전했다는 평이 전문가들 사이에선 대세였다.

이형석 기자ㆍ국회팀/su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