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준비된 원고만 읽고 또 읽는 ‘앵무새 TV토론’ 언제까지?
판에 박힌 시간제한·질의응답
사회자는 시간관리자 역할만
스탠딩·양자토론 신선한 사례

대통령 선거 경선 TV토론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있다. 같은 내용을 반복하거나 미리 준비한 원고만 읽는 ‘앵무새 토론’ ‘학예회 토론’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여타 정당과 달리 유승민 의원과 남경필 경기지사가 대본을 던지고 스탠딩 방식으로 진행한 바른정당 토론회가 모범사례로 호평을 받았다.

국내에서도 미국이나 유럽같은 방식으로 심층적인 정책 대결이나 후보자 자질 검증이 이뤄질 수 있는 방식으로 TV토론방식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일단 지나친 시간 제한과 질의 응답 순서를 자유로운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효성 청주대 교수는 지난 17대, 18대 대선 TV토론을 분석한 논문(‘대통령선거 TV토론의 문제점에 대한 고찰’)에서 “그동안 우리나라 TV토론은 기계적 형평성이라는 족쇄에 갇힌 형식적 질문과 판에 박힌 답변 때문에 토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며 “한 차례의 토론에서 지나치게 많은 이슈가 다루어지고 발언 횟수와 시간을 공정하게 분배하려다 보니 후보자 간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충분한 충돌과 논쟁이 이뤄지지 않는다”고 했다.

반면 독일의 경우 후보자의 답변시간 초과나 제한된 질문 수를 넘어가는 것에 대해 유연하다.

이종희 선거연수원 박사의 논문(‘선거방송토론의 발전방안 연구’)에 따르면, 지난 2013년 진행됐던 독일 총리후보자 TV토론은 사회자들의 질문에 대한 토론자들의 1회 답변시간은 90초 이내였으나 이 시간을 어느 정도 초과하더라도 허용하는 등 유동적으로 진행됐다. 논문 ‘선거방송토론의 발전방안 연구’에 따르면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7회, 슈타인 브뤽 후보는 2회를 각각 90초 초과해 발언했다.

또 토론회 모두에서 후보자간 인삿말이나 기조연설도 실효성 없는 시간 낭비라는 지적도 있다. 독일의 경우 기조연설 없이 바로 질문으로 토론을 시작해 오프닝타이틀 표출에서 첫 질문까지의 시간이 불과 몇 십초 밖에 걸리지 않는다.

사회자의 역량도 자주 지적되는 부분이다. 공정성 시비에 휘말리지 않으려다보니 사회자의 역할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박상호 전 한국방송협회 연구위원은 지난 18대 대선후보 TV토론을 분석한 그의 논문에서 “사회자가 지나치게 기계적인 공정성에 매여 사회자로서의 소극적 개입조차 포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프랑스와 독일의 주요 선거 후보자 TV토론에서는 사회자가 많은 재량권을 갖고 있다. 이효성 교수는 “사회자에게 토론의 전반적인 진행과 관련된 폭넓은 권한을 허용하는 보다 유연한 토론 방식 도입이 시급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최준선 기자/hum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