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K-스마트시티’, 수출상품에 더해 국민체감 내실 다지기
[헤럴드경제=홍성원 기자]정부가 전략 수출품목으로 육성하려는 스마트시티가 국내에서 성공사례를 축적하는 방향으로까지 영역을 넓힌다. 국토교통부가 11일 내놓은 ‘스마트시티 정책 추진 방향’에서 확인된다. 

강호인 국토부 장관은 이날 서울 서초구 한강홍수통제소에서 열린 스마트시티 발전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산학연 정책간담회에서 “작년 한 해는 해외진출에 초점을 두고 스마트시티의 정책 외연을 확장했다”면서 “올해는 스마트시티에 대한 종합적인 전략을 세우고 이를 통해 국내 성공사례를 축적해 국민들이 체감하는 스마트시티를 만들어가는 데 보다 집중하려 한다”고 밝혔다. 


[사진출처=123RF]

해외에 초점이 맞춰져 있던 스마트시티 사업을 국내에서도 내실을 다져 균형을 이루겠다는 뜻이 읽힌다.

일단 스마트시티의 해외 공략 전략은 지속적으로 펼친다. 타깃국가 대상 ‘범부처 스마트시티 수주지원단 운영(해외로드쇼), 중동ㆍ중남미 등 주요 진출 대상국과 MOU(양해각서)체결, 해외사업 정보를 일괄 제공하는 ‘통합 정보 네트워크’ 운영 등이 계획돼 있다. 

국내에 스마트시티를 육성하기 위한 체계도 정비한다. 스마트시티 수출을 전담키로 했던 정부내 태스크포스팀 성격의 조직이 바뀐다. 기존 ‘스마트시티 수출추진단’의 이름을 ‘스마트시티 추진단’으로 변경하고 국내까지 총괄토록 했다. 추진단 산하에 지방자치단체 협의체와 공기업 협의체를 구성ㆍ운영하게 된다. 정부는 앞서 세종ㆍ동탄2ㆍ판교ㆍ평택고덕에 스마트시티 특화단지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지자체를 대상으로 스마트시티 인증제를 도입한다. 교통ㆍ에너지ㆍ물관리 등 분야별로 객관화된 지표를 개발해 국내 도시에 대한 스마트시티 수준도 진단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아울러 스마트시티를 짓고 운영하는 걸 지원하기 위해 현행 U-City법(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을 스마트도시법으로 개정할 예정이다. 여기엔 신도시 뿐만 아니라 기존 시가지까지 스마트시티로 변모시킬 수 있는 내용이 담긴다.

국토부는 국가 차원의 스마트시티 중장기 발전 로드맵도 주요 부처ㆍ지자체와 협조해 만들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스마트시티 관련 산업 육성, 해외진출 지원 등에 대한 법ㆍ제도개편도 병행해 우리나라가 명실상부한 ‘스마트시티 선도국’으로 재도약할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했다.

hong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