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말과 행동 달랐던 김정은…2017년 한반도 정세 여전히 안갯속
[헤럴드경제=김우영 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 1일 육성 신년사를 통해 전달한 메시지는 안으로는 경제, 밖으로는 핵보유국 지위를 두 축으로 하고 있다. 남북관계와 관련된 내용은 상당 부분 포함됐지만 중심축이 아니란 점에서 큰 의미를 부여하긴 어렵다.


김 위원장은 “온 민족이 힘을 합쳐 자주통일의 대통로를 열어가야 한다”며 상호비방 중단을 제안했다. 또 한미 군사훈련을 ‘전쟁연습 소동’이라고 비난하면서 “긴장을 완화하기 위한 우리의 진지한 노력에 답하라”고 촉구하는 등 한반도 긴장 완화의 원인을 남한에 전가시키기도 했다. 다만 2015년 “최고위급 회담도 못할 이유가 없다”고 말한 것에 비하면 구체적인 제안은 하지 않았다. 때문에 김 위원장의 이 같은 발언은 남한의 탄핵정국과 그에 따른 조기 대선 실시 가능성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나름의 정세판단에 따른 정치적 공세 이상의 의미를 갖기 어렵다. 통일부가 즉각 “북한이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 개선을 바란다면 무엇보다 진정성을 갖고 비핵화의 길로 나와야 할 것”이라며 비판한 이유다.

더군다나 북한은 과거에도 수차례 말과 행동이 달랐다. 당장 지난해 김 위원장은 신년사에서 핵을 전혀 언급하지 않은채 “누구와도 마주앉아 민족 문제ㆍ통일 문제를 허심탄회하게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지만 불과 닷새 뒤인 1월 6일 제4차 핵실험을 기습적으로 강행했다. 이후 북한은 ‘광명성 4호’를 비롯한 각종 탄도미사일 발사 도발을 이어오다 5차 핵실험을 했다.

2013년에도 김 위원장은 ‘민족화해ㆍ단결’을 강조했지만 3차 핵실험을 실시했다. 2차 핵실험이 있었던 2009년에도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신년사에서 ‘조선반도 비핵화’를 언급한 바 있다. 북한의 방점이 어디까지나 핵과 미사일 개발에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여기에 김 위원장은 이번 신년사에서 대놓고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 발사 준비 사업이 ‘마감 단계’라며 “핵무력을 중추로 하는 선제공격 능력을 계속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엄포를 놓았다. 북한은 그간 공식적으로 ICBM은 평화적 인공위성이라고 포장해왔다. 그런 북한이 김정은 신년사에서 ICBM을 처음 언급한 것은 앞으로 주위 시선을 신경 쓰지 않고 정해진 시간표대로 움직이겠다고 선언한 것과 마찬가지다.

김 위원장은 특히 신년사에서 박근혜 대통령을 이례적으로 직접 언급하며 비난했지만 미국의 차기 정권은 입에 올리지 않았다.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정책이 윤곽을 드러내지 않은 상황에서 신중함이 엿보인다. 하지만 북한이 ICBM 개발을 공식화한 만큼 대화 가능성을 엿보다 고강도 도발로 존재감을 드러낼 것이란 우려가 제기된다. 시점은 오는 8일 김정은 생일과 20일 트럼프 행정부 출범일 등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kw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