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몽촌-풍납 토성은 한성백제 투톱 도성”…폭 13m 연결도로 확인
[헤럴드경제=함영훈 기자] 몽촌토성에 너비 13m나 되는 도로가 700m 떨어진 한성백제의 중심 궁성인 풍납토성 방향으로 나있는 것으로 처음 확인됐다. 이는 몽촌이 배후의 성(城)이 아닌, 풍납토성과 짝을 이루는 ‘투톱’ 한성백제 수도 궁성일 가능성을 보여주는 유적이어서 학계의 관심이 모아진다.

문화재청은 서울시 한성백제박물관이 몽촌토성(사적 제297호)의 북문 터 일원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해 전체 폭이 13m에 달하는 도로 유적을 찾아냈다고 14일 밝혔다. 이 도로는 너비 9.7m의 중심도로 옆에 폭 2.7m의 길이 나란히 나 있다.
[사진=풍납토성으로 향하는 몽촌토성 1호도로 전경]

몽촌토성 안쪽에서 북문을 지나 바깥쪽까지 이어지는 이 도로는 백제가 개설했다고 한 차례 대규모 수리를 했고, 후대에는 고구려가 개축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길은 북문 바깥쪽에서 40m 정도 나아가다 풍납토성 방향인 북서쪽으로 휘어진다. 풍납토성은 몽촌토성에서 약 700m 떨어져 있는데, 이 도로가 두 성을 잇는 대로였던 것으로 보인다.
[사진=몽촌토성 3호도로 전경]

이번 조사에서는 격자로 난 삼국시대 포장도로 3기, 수혈유구(竪穴遺構, 구덩이 흔적) 18기, 구상유구(溝狀遺構, 고랑 터) 1기가 몽촌토성안에서 발견됐고, 성 바깥에서는 사람과 소의 발자국을 비롯해 수레바퀴 흔적이 뚜렷한 통일신라 시대 유구가 나왔다.

특히 수혈유구 중 한 곳에서는 관청을 의미하는 ‘관’(官) 자가 좌서(左書·좌우가바뀐 글씨)로 찍힌 토기 조각이 출토됐다. 이 토기는 4∼5세기 백제 한성도읍기를 대표하는 양식인 직구단경호(直口短頸壺·주둥이가 곧고 입이 짧은 항아리)이다. 풍납토성에서는 1999년 고위직 관료를 뜻하는 ‘대부’(大夫)라는 글자가 새겨진 직구단경호가 나온 바 있다.
[사진=몽촌토성에서 발굴된 ‘관(官)’자명 토기]

두 토성이 국가 최고 공공기관의 기능을 함께 수행했음을 예측하게 한다. 박물관 관계자는 “대규모 도로 유적이나 ‘관’자 토기 발견은 몽촌토성이 백제의 또 다른 도성이었음을 입증하는 유물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박중균 한성백제박물관 학예연구사는 “풍납토성에서 나오는 도로 유적의 폭이 보통 6∼8m라는 점을 고려하면 몽촌토성 도로는 매우 넓다”며 “몽촌토성의 중심도로는 폭이 3m 정도 되는 도로를 양옆에 둔 1도(道) 3로(路) 형태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그는 “풍화토와 잡석, 점토를 섞어서 워낙 단단하게 다진 탓에 수레바퀴 흔적이남지 않았다”면서 “여러모로 상당히 공들여 만든 도로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사진=몽촌에서 풍납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이는 하층도로 단면도]

대규모 도로 유적과 연결된 또 다른 도로 유적에서는 고구려가 길을 개축하면서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한 사각형인 말각방형(抹角方形) 회전 교차로를 설치한 것으로 조사됐다.

박중균 학예연구사는 “이미 1980년대 몽촌토성 발굴에서 고구려 토기가 많이 출토됐다”며 “이번 발굴 결과로 고구려가 몽촌토성을 함락시킨 뒤 철군한 것이 아니라점유·활용했다는 주장이 힘을 얻게 됐다”고 말했다.

한성백제박물관이 2013년부터 조사하고 있는 몽촌토성은 1983년부터 1989년까지서울대박물관, 숭실대박물관, 한양대박물관, 단국대박물관 등이 발굴조사를 벌여 백제 한성도읍기 도성으로 학계의 주목받았던 곳이다. 그러나 1990년대 풍납토성에서 백제 유물이 무더기로 쏟아지면서 풍납토성에 딸린 성으로 위상이 재조정됐다.

ab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