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반월상연골판, 가능한 살려서 관절염 예방하자....

완연히 가을로 접어들면서 전국의 모든 산이 단풍으로 물들어 가고 있다. 단풍이 보기 좋은 산에는 등산객들이 많이 몰리고 있다. 등산은 무릎 건강에 아주 좋은 운동인 것은 확실하다. 그런데 등산하고 무릎이 아프다고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심심찮게 늘고 있는 것은 왜 그럴까?

자신의 체력에 비해 과도한 산행을 하게 되면 하산할 때쯤 다리에 힘이 없어서 휘청이게 된다. 특히 계단을 내려오거나 경사진 비탈을 내려올 때 무릎 관절의 불안정성이 가장 높아지게 된다.

하산할 때 무릎관절에 불안정성이 증가돼 있는 상황에서 다리에 힘도 빠져있으니, 잘 다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때 다치는 부위가 반월상연골판 뒤쪽일 경우가 흔하다. 이 부위가 파열되면 앞쪽부위가 멀쩡해도 반월상연골판의 기능이 완전히 없어지게 된다.

즉, 쿠션 기능이 소실되는 것. 그렇게 되면 무릎 관절 연골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져서 연골손상이 빨리 진행된다. 반월상연골판은 다른 부위와 다르게 혈액공급이 잘 안되는 부위이다. 그래서 한번 손상되면 자연치유가 거의 안된다. 봉합을 하더라도 잘 아물지 않기 때문에 치료에 애를 먹는 경우가 많다.


 

▲반월상연골판 치료를 위해서는 전문의 상담이 필수적이다



강북연세사랑병원 박영식 원장은 “반월상연골판의 맨 뒤쪽 기저부에서 파열이 발생하면 그동안은 부분 절제술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치료방법이었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쿠션기능의 복원은 불가능하다. 단지 통증을 조절하는 것일 뿐이다.”면서 “결국 연골손상이 뒤따라 오게 되고, 퇴행성 관절염이 발생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부위를 봉합하는 수술방법이 개발되면서 봉합을 하게 되었고, 이후로는 퇴행성 관절염으로의 진행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게 되었다.”고 조언했다.

이어 “등산을 하고나서 오금, 그러니까 무릎 뒤쪽이 당기고 아프다면 반월상연골판의 파열을 의심해봐야 한다.”며 “이때는 망설이지 말고 정형외과 전문의를 찾아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현명하다.”고 말했다.

 

최경침 기자 / edwi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