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유해물질로 치약 만들어도 새까맣게 몰랐던 식약처
국민 건강 안전에 직결되는 유해물질 관리에 구멍이 또 뚫려도 단단히 뚫렸다. 가습기 살균제 파동을 불러온유독성 물질 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CMIT)과 메틸이소티아졸리논(MIT)이 이번엔 치약에서 나왔다. 파장은 확산일로다. CMIT와 MIT는 알레르기성 피부염과 기침 호흡곤란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유해물질이라고 한다. 동물실험결과 폐섬유화증상은 없었지만 환경부는 유해성을 인정해 유해물질로 고시한 바 있다. 물론 치약 보존제 사용도 금하고 있다. 매일 쓰는 치약이고, 그것도 굴지의 대기업에서 생산한 제품에 이런 물질이 들어있으니 국민들이 받는 충격은 배가될 수밖에 없다.

문제가 불거지자 관련 제품명은 순식간에 포털 실시간 검색어 1위에 올랐다고 한다. 국민들 불안감이 어느 정도인지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온 국민을 공포에 떨게 했던 가습기 살균제 파동이 여전히 진행중이니 그럴만도 할 것이다. 당장 오늘(28일)만 해도 국회 가습기살균제 사고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위가 열렸다. 한쪽에서는 재발방지 대책을 논의하는 데, 다른 한쪽에선 비슷한 문제가 야기돼 허둥대는 모습을 보는 국민들 심정은 어떠하겠는가.

치약에 유독성 물질이 함유된 것만해도 엄청난 일인데, 더 놀라운 것은 이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유해 치약 문제는 정의당 이정미 의원이 처음 제기하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이 의원이 가습기 살균제 문제를 조사하다 CMIT와 MIT가 들어간 보존제가 치약제조업체에 수년간 공급된 사실을 알게 된 게 그 발단이었다. 식품의약안전처도, 해당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도 까막득히 모르고 있있던 것이다. 자칫 그냥 지나쳤다면 불특정 다수 소비자들은 아무것도 모른 채 계속 위험에 노출될 뻔 했다. 생각만해도 아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식약처의 후속 조치 역시 미덥지 못하다. 문제의 물질이 어디에 얼마만큼 공급됐는지 즉시 파악하고 더 이상 사태가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게 급선무다. 실제 화장품과 구강청결제 원료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도 됐다. 그런데도 “미국과 유럽연합(EU)에서도 치약에 소량 허용되고 있으며 입안을 물로 깨끗이 헹궈내면 유해성은 없다”는 입장부터 밝혔다. 일단 면피부터 하고 보자는 것이다. CMIT와 MIT이 얼마나 유해한지는 이제 문제의 본질이 아니다. 국민들이 불안해하는 것은 사용금지 물질이 버젓이 쓰이고 있는데도 파악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금이라도 철저한 조사와 재발 방지 방안을 마련해 국민 앞에 내놓아야 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