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기상청 ‘면피성’ 대책보다 전문성 강화가 급선무
사상 유례없는 폭염 등쌀에 시달린게 엊그제인데 벌써 완연한 가을날씨다. 폭염못쟎게 국민들을 힘들게 한 것이 기상청의 잇단 오보였다. 비가 온대서 휴가를 취소했더니 날씨가 멀쩡했다는 사람도 있었고, 이제 더위는 물러난다는 예보도 몇차례나 틀렸는지 모른다. 폭염기간 내내 예보에 진땀을 흘리고, 비난에 고개를 숙였던 기상청이 결국 공식사과와 함께 예보 정확도 향상 대책을 내놓았다.

기상청은 올 여름 잇단 오보의 원인으로 유례없는 기상이변과 수치모델의 예측성 저하, 예보관들의 사전학습 및 심층연구 부족을 들었다. 이런 상황의 재발을 막기위해 기상청은 내년까지 강수 전문 단기예보 분석관과 기온 전문 중기예보 분석관을 배치하고 퇴직한 베테랑을 자문관으로 위촉하겠다고 밝혔다. 고급 예보인력을 100명선으로 늘리고, 현 근무체계도 5명씩 4개조에서 7명씩 5개조로 늘린다는 것이다.

기상청이 내놓은 전문인력 증원 대책은 올초 500억원대 슈퍼컴퓨터를 도입하고도, 이를 제대로 분석할 만한 예보관이 부족했다는 고해성사로 해석할 수 있다. 기상이변에다 전문인력도 부족했으니 정확한 예보가 나올 리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번 대책으로 오보가 줄고, 정확한 예보가 가능할지는 의문이다. 전문인력을 늘린다고 하지만, 현 기상청 시스템하에서 양성된 인력들이다. 인원을 늘린다고 정확성이 높아진다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 게다가 이들의 전문성을 어떻게 강화할지에대한 설명도 없다. 기상청의 말대로 향후 기상이변이 빈발하는 상황이라면, 지금의 관측과 예보 시스템을 대폭 개선해야 한다는 뜻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청사진도 없다. 전문가들은 기상관측에 소요되는 시간, 관측의 대상이 되는 공간의 밀도를 높여 예보의 기초가 되는 데이터의 양과 질을 높여야한다고 지적한다. 예보관 인력 확보나 교육, 한국형 수치모델 개발 등을 위해서는 300억 이상의 예산이 소요된다고 하나 기상청은 기재부와 협의도 되지 않았다고 한다. 예산도 확보하지 않은 상황에서 부랴부랴 대책을 내놓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기상청은 예보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좀 더 전향적인 자세를 보일 필요가 있다. 내부 인력 증원에 그치지 말고, 학계의 기상전문가를 영입하거나, 민간기업에 기초 예보자료를 제공해 선의의 경쟁을 펼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일기예보는 산업이고, 첨단과학과 전문인력이 투입되어야하는 까다로운 작업이다. 책상 위에서만 고민해서는 해법을 찾기 어렵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