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의료진 감염부터 막아야 ‘결핵 후진국’ 오명 벗는다
대형병원 의료진이 결핵에 또 걸렸다. 질병관리본부는 삼성서울병원 간호사 1명이 결핵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지난달에는 이대 목동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결핵 확진 판정을 받은 바 있다.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결핵 감염은 자칫 집단으로 전파될 가능이 높아 특히 주의해야 한다. 그런데도 이런 일이 툭하면 벌어지는 것은 그만큼 결핵 관리체계에 구멍이 뚫렸다는 의미다. 실제 지난 3월 대구 계명대 동산병원 소아쳥소년과 전공의가 결핵에 감염돼 29명에게 옮겼다. 또 2014년에는 부산의 한 산부인과 근무 의료진이 결핵에 걸리는 바람에 많은 영유아가 잠복결핵 또는 실제 결핵에 감염되기도 했다.

한국은 결핵 환자 발생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압도적 1위다. 2014년 기준으로 인구 10만명당 86명 꼴이 결핵환자다. 2위인 포르투갈의 25명에 비하면 3배가 훨씬 넘는다. OECD 평균 12명의 무려 7배 수준이다. 세계보건기구(WHO)가 한국을 ‘결핵 보유국’으로 판정할만도 하다. 세계 10위권을 넘나드는 경제 강국이고, 의료기술 선진국이라지만 결핵에 관한한 후진국이라 해도 할 말이 없게 됐다. 부끄럽고 민망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결핵이 창궐하는 요인의 하나는 환자 가운데 의료기관 종사자가 너무 많다는 점이다. 지난해 결핵에 걸린 보건의료인은 모두 369명인 것으로 질본은 파악하고 있다. 업종별로는 학생(1490명) 다음으로 많다. 감염자 수도 2012년 117명에 비해 3배 이상 늘어나는 등 매년 급증하는 추세다. 병원에는 면역력이 약한 고령자와 영유아, 각종 질환자가 많아 결핵균에 노출될 위험성이 높다. 특히 호흡기내과 응급실 암병동 신생아실 등은 병원 내에서도 고위험 군이다. 이번에 확진 판정 받은 서울삼성병원 간호사도 소아혈액암병동 근무자라 집단 감염 우려가 더 크다.

사정이 이런데도 의료진에 대한 보건당국의 감염방지 노력은 사실상 전무하다. 정부는 결핵예방법을 개정해 의료진의 관련 검사를 의무화한다지만 제대로 효과를 거두기는 어렵다. 검사비가 한 사람 당 10만원 가량 드는데 의무만 지우고 지원은 한 푼도 하지 않으니 유야무야되기 십상이다. 전 의료진에 대한 지원이 어렵다면 최소한 신생아실 등 고위험군 부서 근무자들만이라도 해 줘야 한다. 지난해 메르스 사태도 병원이 전파의 온상이 되지 않았나. 다른 예산을 아끼더라도 의료진의 결핵 감염부터 막아야 한다. 그래야 결핵 후진국을 벗어날 수 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