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대우건설 사장 선임 사추위에 맡기는게 순리
대우건설 사장 인선 과정에서 나타난 산업은행발 낙하산 파문이 확산일로다. 이젠 자회사 사장을 뽑을 때마다 이런 저런 구설에 오르는 산업은행과 경영진이 오히려 안쓰러울 지경이다. 산업은행은 여러 이유를 대지만 정황은 시중에서 공공연히 나도는 정치권 입김의 가능성이 농후함을 드러낸다. 그동안 나타난 대우건설 사장 인선 과정의 파행적 행태만으로도 낙하산 사실 여부를 떠나 의혹을 불러일으키기 충분하다.

박영식 현 사장과 이훈복 전무로 압축됐던 차기 사장 결정과정은 지난달 10일 외부인사 영입으로 급선회하며 돌연 백지화됐다. 대우조선이 내부 출신 사장들의 분식회계로 문제됐으니 대우건설은 외부 영입으로 바꿔야한다는 얘기가 돌았다. 재공모를 거쳐 조응수 전 대우건설 플랜트사업본부장과 박창민 현대산업개발 상임고문이 최종 후보로 새로 결정됐다. 20일 최종면접과 프레젠테이션을 실시할 예정이었지만 또 불발됐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은 “여러 의견이 많아 조금 숙려 기간을 두는 게 어떻겠냐는 의견이 있다기에 그렇게 하라고 했다”고 설명하지만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는 사람은 많지 않다. 사장추천위원회가 산업은행의 의도대로 움직이지 않았기 때문이란 게 더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나마 사추위가 낙하산 방어의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다.

사실 연매출 10조원에 달하는 대우건설은 지금 어느 때보다 중요한 경영상황에 놓여있다. 지난 3년간 국내 대형 건설업체들은 중동플랜트 덤핑 수출로 발생한 엄청난 부실로 어려움을 겪는 중이다. 상대적으로 다른 건설사에 비해 중동 플랜트 부실이 덜한 편이지만 대우건설 역시 해외부실을 털어내고 재도약하는 시기다. 이 때문에 대우건설의 CEO는 해외 사업, 특히 건설과 금융이 결합한 해외사업 전문가가 필요한 시점이다. 현대산업개발 출신 박창민 고문은 국내 주택분야로 전문성이 한정돼 해외 건설 비중이 전체 사업의 절반을 차지하는 대우건설의 CEO로는 한계가 있다는 게 사추위의 의견이다. 해외 사업 구조를 모르는 외부 인사는 자칫 단기실적을 위한 덤핑 수주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과거 그같은 사례가 없지 않았다. 이번에 불합리한 인사를 막지 못하면 정치 바람이 불 때마다 낙하산 인사 문제로 어려움을 겪게 되고 결국 대우건설의 미래는 암울해질 수 밖에 없다. 대우건설 최고 경영자는 사장추천위원회와 이사회에 맡겨야 한다. 간섭하지 않는 것이 현재의 파문을 가라앉히는 길이다. 그것이 대우건설의 미래를 담보하는 길임은 물론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