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밖에선 북핵, 안에선 결핵…‘핵’의 난리
[헤럴드경제=김지윤 기자]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을 내세우는 우리나라가 ‘결핵’ 만큼은 후진국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다.

인구 10만명당 결핵 발생률(86.0명·2014년 기준), 유병률(101.0명)에서 부동의 OECD 1위다. 2위인 포르투갈(발생률 25.0명, 유병률 29.0명)에 비해 4배 가까이 높다. 최근 줄고 있다고 하지만, 여전히 2015년 3만2181명이 새로 결핵 진단을 받았고, 2013년 2230명이 이 병으로 사망했다. 매일 100명 가까이 새로 결핵에 걸리고 6명 이상이 결핵으로 숨지는 부끄러운 기록을 갖고 있다.


이에 최근 또다시 집단 결핵 공포가 창궐했다.

18일에는 서울 양천구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결핵에 걸린 것으로 확인되면서 보건 당국이 비상에 걸린 것이다. 양천구보건소, 질병관리본부, 서울시는 ‘결핵역학조사반’을 꾸려 이대목동병원에 상황실을 차리고 결핵균이 신생아에게 전염됐는지 확인하는 작업을 벌이고 있다.

어린이집·유치원을 포함해 학교와 직장, 군대, 병원 등에서 양성 결핵 환자로 인해 집단 감염이 우려돼 실시한 결핵 역학조사는 올 상반기에만 총 1733건(잠정치), 하루 평균 9.5건에 이른다. 우리 주변에 결핵 환자가 그만큼 많다는 뜻이다. 

더구나 보건 당국은 지난해 직장 내 역학조사 실시 기준을 ‘가래에서 결핵균이 나온 사람 2명 이상일 때’에서 ‘1명 이상’으로 강화했다. 이에 작년 역학조사 건수는 2014년(1500건)보다 88% 뛰어오른 2821건(하루 7.7건)을 기록했고, 올해는 상반기에만 1733건(하루 9.5건)에 이르렀다.

한국은 이처럼 ‘결핵 후진국’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정부는 1990년대 중반까지 결핵이 급감하자 결핵 환자 관리를 느슨하게 했고 2000년대부터 다시 결핵이 늘어나는 현상이 벌어졌다. 환자들의 부주의도 한몫했다. 잠복 결핵은 4개월, 활동성 결핵도 약을 6개월 정도 꾸준히 복용하면 낫는 병이다. 하지만 약을 한 달 정도 먹고 증상이 사라지면 복약을 멋대로 중단하는 환자들이 많다. 


대한민국은 이처럼 여전히 결핵에 떨고 있는 반면, 북한에서는 결핵이 아닌 북핵 문제로 심상치않다.

북한이 19일 새벽 탄도미사일 3발을 발사한데 이어 5차 핵실험 움직임까지 보이면서 추가도발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27일 북한의 전승절(정전협정 체결일) 이전에 핵실험을 할 수 있다는 관측이 북한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온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은 이날 새벽 5시 45분부터 6시 40분께까지 황해북도 황주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총 3발을 발사했다. 군당국은 지난 13일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를 경북 성주에 배치한다고 발표한 지 6일만으로, 이에 대한 반발 또는 ‘무력시위’ 차원으로 관측하고 있다.

군 당국은 북한이 릴레이식 미사일 발사나 서해 NLL(북방한계선) 도발 등 추가 무력시위에 나설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 기습적인 5차 핵실험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북한이 만약 핵실험에 나선다면, 이는 다목적 포석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미국이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을 인권 유린 혐의로 대북 제재 명단에 포함한 것과 사드의 한반도 배치 등에 대한 반발 차원이라는 것이다. 북한은 추가 핵실험을 통해 명실상부한 핵보유국임을 과시하려 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j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