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 스무고개 펼친 사드 보고
사드(THH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는 극도로 민감하다. 국방, 외교가 얽힌 복잡한 고차방정식이다. 정부가 사드 배치를 전격 발표한 후, 예상대로 논란은 뜨겁다. 특히나 사드 배치 지역을 두고 거론되는 지역마다 대규모 항의 집회가 잇따른다.

지난 11일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열린 국방부 사드 현안보고에서도 배치 지역을 둘러싼 질문이 쏟아졌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6월 말 부지 가용성을 보고받았다”고 했다. 이미 6월 말부터 사드 배치 지역의 윤곽이 나왔다는 말이다.

이때부터 ‘스무고개’는 시작된다. “이미 여러 후보지가 거론되고 있다”, “최적지의 검토는 끝난 것인가?” 등의 질문에 한 장관은 “부지와 관련된 사항이라 밝힐 수 없다”고 일관했다.

그러자 우회적인 질문이 들어간다. 직접 지역명을 거론하지 않는다면, ‘경우의 수’라도 줄여보자는 전략이다. “미군기지에 들어가면 ‘조성’이란 표현을 쓰지 않는다”는 질문이 나왔다. 기존 미군기지 지역인지, 신규 지역에 배치되는지다. 이 역시 한 장관은 “답변을 유보하겠다”고 했다.

이미 6월 말에 배치 지역 윤곽을 잡았고, 지금은 최적지를 사실상 결정했다고 하면서도 한 장관은 “절차상 밟아야 할 게 있다”고 입을 다물었다. 그러면서 “발표 전 해당 지역과 상의를 할 것인가”라는 질문엔 “그런 절차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종합해보면, ‘이미 배치 지역은 확정됐지만, 아직은 밝힐 수 없다’로 요약된다. 물론, 사안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섣불리 밝힐 사안은 아니다. 그런데 한 장관 스스로도 밝혔듯 이미 사실상 확정된 지역을 ‘절차 상의 이유’로 발표를 차일피일 미루는 사이, 이미 전국은 사드로 몸살이다.

지난 7일 정부가 사드 배치 결정을 발표한 지 일주일도 채 되지 않았다. 현재까지 후보지로 오르내린 지역만 7, 8곳에 달한다.

그리고 후보지로 거론될 때마다 각 지역에선 삭발 투쟁, 대규모 항의 집회가 이어진다. 지역을 빼고서 굳이 배치 결정을 먼저 발표한 정부가 이같은 혼란을 예견 못했을 리 없다.

한 장관은 지역 선정 발표 시점을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결국, 스무고개는 이날도 계속된다.

김상수 정치섹션 국회팀 기자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