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시민 절반 ‘공유정책 모른다’…개별 사업은 알아
-서울시 2500명 설문 결과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 2012년 9월 서울시는 ‘공유도시 서울’을 선언했지만 서울 시민 2명 중 1명은 여전히 시의 ‘공유도시 정책’을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16개 구체적인 공유사업에 하나라도 알고 있는 시민은 95%를 웃돌았다.

시는 지난달 2일부터 17일까지 조사기관 ‘오피니언라이브’에 의뢰해 19세 이상 서울시민 2500명을 대상,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시의 공유정책 인지도는 49.3%였다고 20일 밝혔다. 그 중 ‘잘 안다’고 대답한 시민은 9.7%에 그쳤다.

한편 공유사업별 세부 인지도는 비교적 높았다. 16개 공유도시 사업에서 하나라도 들어봤거나 잘 안다고 응답한 시민은 95.2%였다. 특히 나눔카는 81.2%로 가장 인지도가 높았고, 공공자전거 따릉이(77.1%), 도시민박(65.1%), 셰어하우스(63.7%)가 뒤를 이었다.

‘저렴한 비용’을 필두로 사업 만족도 또한 16개 모두 80%수준을 유지했다. 주차장 공유 등 주요 5개 공유사업의 경우 93.6%에 달하기도 했다.

하지만 인지도에 비교해 실제 이용률은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왔다. 나눔카의 경우 안다고 대답한 81.2% 시민 가운데 50.8%가 ‘이름만 들어본 적 있다’고 말했고 공공자전거 따릉이 또한 안다는 77.1% 시민에서 40.3%는 이용해본 적이 없다고 응답했기 때문이다.

시는 11월 6일부터 이틀간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공유도시 정책성과를 공개하는 ‘공유도시 페스티벌’을 개최하기로 했다.

특히 행사전 11월 1일부터 1주일간 시민 대상으로 ‘공유경제 체험주간’이 운영된다. 기간동안 시민들에 ‘알고만 있었던’ 정책들을 직접 체험할 기회를 부여, 정책 홍보효과를 높인다는 게 시의 의도다.

전효관 서울시 혁신기획관은 “이번 설문조사로 서울의 공유도시 사업이 시민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며 “11월 공유서울 페스티벌이 세계적 공유도시 서울로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되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