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임신부 건강관리법 ②] 산모 10명 중 1명, 임신성 고혈압 만성화 위험
realfoods
- 삼성서울병원 박성지 교수팀, 체질량 지수 등 위험인자 규명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 임신성 고혈압이 만성 고혈압으로 이어지지 않으려면 체중조절 등 적극적인 생활습관 개선이 뒤따라야 한다.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박성지 교수ㆍ황지원 임상강사 연구팀이 지난 2005년부터 2012년 사이 임신성 고혈압을 진단받고 출산까지 마친 산모 600명을 분석한 결과, 만성 고혈압군과 대조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우선 체질량 지수(BMI)에서 나타났다.

만성 고혈압군의 BMI는 23.98(㎏/㎡)로 대조군21.87(㎏/㎡)에 비해 다소 뚱뚱한 것으로 분석됐다. 임신 당시 체중이 증가한 상태가 지속되면 만성 고혈압으로 진행될 위험이 그 만큼 더 높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임신성 고혈압이 임신 20주 이전에 발병하면서 장기부전이 동반되는 것도 만성 고혈압과의 연결고리 중 하나로 지목됐다. 장기부전이 동반된 만성 고혈압군은 41.5%를 차지해 대조군의 2.5%와 큰 차이를 보였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 밖에 두 군의 흡연력 또한 각각 4.9%(2명), 0.5%(3명)으로 나타났다.

임신성 고혈압은 단백뇨의 동반 없이 임신 주수 20주 후 혈압 측정 시 수축기 140mmHg, 확장기 90mmHg 이상인 경우에 해당한다. 이는 산모의 임신중독과 태아의 발육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어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대부분 출산 후 12주가 지나면 상승한 혈압이 정상범위로 내려가기 때문에 그 중요성을 간과하기 쉽다. 그러나 임신성 고혈압 진단을 받은 산모 10명 중 1명은 출산 후에도 혈압이 정상으로 돌아오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임신 중 발생한 고혈압이 만성 고혈압으로 전환돼 평생 건강을 위협하게 된다.

이처럼 혈압이 정상으로 돌아오지 않는 이유는 그동안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박성지 교수 연구팀의 연구에서는 높은 체질량 지수, 임신성 고혈압이 이른 시기에 발생하면서 장기부전이 동반돼 있는지 여부, 흡연력 등이 위험인자로 확인됐다.

박성지 교수는 “이러한 위험인자를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다면 만성 고혈압으로 전환될 위험이 더 높다”며 “산모는 물론 의료진 모두 위험요소들은 미리 파악하고 관리해야 임신성 고혈압이 만성 고혈압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예방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