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멕시코는 웃고 브라질은 울고…중남미 두 거대경제의 엇갈린 행보
중남미의 두 거대 경제권 멕시코와 브라질이 상반된 행보를 보이고 있다. 멕시코는 승자고, 브라질은 패자다. 경제성장률, 실업률, 대외신뢰도 모두에서 멕시코는 비교적 좋은 성적을 기록한 반면, 브라질은 전환점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CNN머니는 멕시코와 브라질이 대조적 상황에 직면에 있다고 29일(현지시간) 전했다. 정부 발표치에 따르면 멕시코 경제는 올해 1~3월 전년 대비 2.7% 성장했다. 기록적인 수준의 성장이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국제 경기가 전반적으로 둔화된 상황에서 비교적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브라질은 지난해 마이너스 3.8%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다. 브라질 중앙은행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마이너스 3.5%로 내다보고 있다.

브라질 국채의 신용등급은 정크본드 수준으로 강등된 반면 멕시코의 국채 신용등급은 2014년 상향 조정됐다.

국제 경제 상황의 변화와 경제 성장 동력의 다각화 정도, 두 가지가 맞물려 발생한 결과였다. 브라질은 2002년 이후 빈곤 퇴치를 기치로 재정 지출 규모를 대폭 끌어 올렸다. 그러나 원자재 가격이 폭락하자 상황은 급변했다. 중국의 경기 둔화에 따라 수출 수요가 급격하게 감소한 브라질 경제는 위기를 맞았다. 멕시코는 달랐다. 비용 축소에 나섰고 성장 동력을 다변화 하기 위해 애써 왔다. 지난 2월에는 국영 석유 기업의 비용을 절감하고 해외 및 민간 투자자들에게 원유 산업을 개방한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수민 기자/smstor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