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다시 험악해지는 이란-사우디 관계…산유량 동결 물건너 가나
[헤럴드경제]중동의 양강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가 17일(현지시간) 카타르 도하에서 열리는 주요 산유국 회의를 앞두고 날 선 공방을 벌였다.

석유수출국기구(OPEC) 13개 회원국 중 지난달 기준 산유량 1, 3위인 두 대형 산유국의 불협화음으로 이날 회의의 목표인 산유량 동결 합의가 성사될 가능성은 더욱 불투명해졌다.

사우디의 ‘실세 왕자’ 모하마드 빈살만 알사우드 제2 왕위계승자는 16일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이란이 산유량을 동결하지 않는 한 사우디도 그렇게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에 그치지 않고 “사우디는 수요가 있다면 산유량을 6개월 만에 100만 배럴 더 늘릴 수 있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유가가 더 떨어지더라도 대(對)이란 제재가 풀리면서 국제원유 시장에 복귀한 ‘라이벌’ 이란에 밀리지는 않겠다는 것이다.

이란은 이날 도하 회의에 석유장관이 참석하지 않는 방법으로 사우디와 대면을 피하면서 산유량 동결 논의에 불만을 나타냈다.

애초 이란은 OPEC 주재 대표를 보내려고 했으나 회의 당일인 17일 “카타르 회의는 산유량을 동결하려는 사람들의 모임으로 이란 대표의 참석이 불필요한 계획에 이란이 굳이 갈 필요가 없다”면서 참석을 취소했다.

이란은 원유 수출을 가로막은 2012년 미국과 유럽연합(EU)의 제재 이후 산유량이 일일 420만 배럴에서 절반으로 급감했다.

1월 제재 해제로 현재 일일 330만 배럴 안팎으로 되살아났고 내년 3월까지 400만 배럴로 올린다는 계획이다.

이란이 유전 시설이 오래돼 산유량 동결에 불참하더라도 갑자기 끌어올릴 수 없어 동결 불참 여부가 실제 국제 원유 시장의 공급량엔 영향이 적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긴 한다.

하지만 2월 사우디, 러시아, 베네수엘라, 카타르가 산유량 동결에 전격 합의했을 때 국제유가는 변동이 없었지만 이란이 “지지한다”고만 밝혔음에도 당일 국제유가가 올랐을 만큼 시장의 시선은 이란을 향하고 있는 상황이다.

공교롭게 산유국 회의에 앞서 14일 열린 이슬람협력기구(OIC) 총회로 양국 관계가 더욱 경색됐다.

OIC는 총회를 폐회하면서 낸 성명을 통해 “바레인, 예멘, 시리아, 소말리아 등 회원국 내정에 이란이 개입하고 테러리즘을 계속 지원하는 데 대해 유감을 표한다”면서 이란을 겨냥한 탓이다.

이에 총회에 참석한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과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외무장관 등 이란 대표단은 이 최종 성명이 발표된 폐회식에 불참했다.

자리프 외무장관은 14일 “이란과 헤즈볼라(이란이 지원하는 레바논 시아파 무장정파)를 ‘파괴적’이라고 일컬은 성명은 사우디의 계략”이라며 “이는 이란-이라크 전쟁 때 사담 후세인이 OIC를 자신의 정치적 이익을 위해 악용한 것과 같다”고 비판했다.

이란 언론들은 이란을 압박한 이번 OIC 성명 초안이 2월 사우디 제다에서 열린 사전 회의에서 결정됐다면서 “당시 사우디가 이란 대표단에 비자를 발급하지 않아 회의에 참석하지 못한 틈을 타 사우디 주도로 초안이 잡혔다”고 보도했다.

이런 부정적인 분위기 속에 합의를 점칠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은 러시아의 역할이다.

러시아는 이란과 정치ㆍ외교적으로 밀접하고 최근엔 중동의 최대 현안인 시리아사태를 놓고 긴밀한 공조 관계다.

러시아는 2월 사우디와 산유량을 동결하는데 손을 잡았기 때문에 러시아가 이란과 사우디를 중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