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AI는 조수개념…감성·사회성 인간대체는 먼 얘기”
권위자 장병탁 서울대교수 밝혀
“뒤늦게라도 중요성 인식은 다행”



인공지능과 인간 최고수가 다섯차례의 바둑 대국을 치룬지 한달. 구글의 인공지능 알파고가 이세돌 9단을 4승 1패로 꺾으며 인류는 인공지능이 인간 사고 영역에 생각 이상으로 근접해 있다는 충격에 빠졌다.

무엇보다 인공지능이 사람의 일을 대신하며 가까운 미래사회 구조 변화를 야기할 것이라는 우려와 더불어, 인류를 위협할지도 모른다는 위기감도 상당하다.


하지만 이는 말그대로 ‘지나친 우려’라는 의견이 제시됐다. 서울대 인지과학연구소장이자 국내 AI 권위자인 장병탁<사진>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15일 이같은 논란에 대해 “AI는 일의 효율성을 높여주는 조수 개념으로 봐야 한다”며 기우에 불과하다고 했다.

이날 관악구 신림동 서울대에서 만난 장 교수는 “모든 것엔 두 가지 측면이 있고 AI도 마찬가지”라며 “전형적으로 정보가 중요한 분야에서는 AI가 반복되는 일은 대체할 수 있겠지만, AI가 사람을 완전히 대체하는 것은 정말 먼 미래의 이야기”라고 했다.

장 교수에 따르면 AI 대체 문제는 현시점에선 경영상 의사결정 문제에 가깝다. 그는 “예컨대 20명이 모여 100억원의 자산관리를 하고 있었는데 같은 인원을 유지하면서 AI를 도입하게 되면 100억원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며 “그러나 인원을 10명, 5명으로 줄이고 같은 규모의 자산을 관리하는 것도 또 다른 선택지가 될 수 있는 만큼 이는 어디까지나 비즈니스 차원의 의사결정”이라고 설명했다. 결국은 의사결정권자의 몫인 것이다.

AI가 아직 완벽하지 않다는 것도 인간의 손길이 필요할 수 밖에 없는 요인이다. 장 교수는 “AI가 겉으로 보면 완벽한 것처럼 보이지만 사람이 입력하는 데이터에 따라 학습을 잘하는 것일 뿐 어떤 데이터를 줘야할지는 사람이 결정해야 한다”며 “사람이 전혀 필요없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본다”고 했다. 우리 사회의 많은 일들이 인간의 감성과 사회성을 필요로 하는 데 반해 AI의 이른바 ‘시스템1’로 정의되는 감성ㆍ사회성 연구는 아직은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단계인 ‘시스템2’에 비해 걸음마 수준인 것이 그 이유다.

박혜림 기자/r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