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5개大 “대학 연구 혁신 위해 계량평가 대신 정성평가 도입해야”
[헤럴드경제=박세환ㆍ신동윤 기자]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 카이스트, 포항공대 등 국내 주요 이공계 5개 대학이 세계를 선도하는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연구업적평가 시스템이 대폭 개선돼야 한다고 촉구하고 나섰다. 그동안 해당 분야에 대해 각 대학별로 의견을 펼친적을 있었지만, 이렇게 대학들이 의견을 모아 공개적으로 정부의 변화를 요청하고 나선 것은 이번이 사실상 처음이다.

15일 서울대와 고려대 등에 따르면 5개 대학 연구부총장은 최근 정부에 연구자 평가방식 개선을 촉구하는 공동선언문에 합의했다.
5개 대학은 공동선언문을 통해 “우리나라는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 전략으로 지난 30여년 동안 논문의 양과 대학 평가순위가 비약적으로 좋아졌지만 정량적 연구실적은 거의 정체 상태이며 특히 피인용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하위권에 머물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들 대학은 그동안 연구 현장이 과학기술인용색인(SCI) 국제학술지 논문 수와 IF(Impact Factorㆍ영향력 지수)등 각종 정량적 평가지표들에 의해 휘둘려 왔기 때문에 연구자들이 이 정량지표를 쉽게 채울 수 있는 인기 있는 연구에만 집중해 왔다고 봤다. 이들은 “산업과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되는 연구성과가 많이 창출되기 위해서는 연구자에 대한 지금까지의 평가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며 “정부의 연구업적 평가 시스템이 대폭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인 항목으로는 ▷연구과제 및 업적을 평가할 때 전문가 집단에 의한 정성평가를 전면 도입할 것 ▷연구과제 및 업적 평가시 공정성을 이유로 정작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을 평가자 풀에서 배제해 평가의 전문성ㆍ신뢰성을 떨어뜨리지 말 것을 제안했다.

이번 공동선언에 참여한 김수원 고려대 연구부총장은 “현재 연구업적평가 시스템은 검증되지 않았지만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의견을 용기있게 제시했을 때 이를 받아들일 수 있는 포용력과 결단력이 부족하고, 이런 상황이 창의적인 생각을 가로막고 있다”며 “각 분야에 포진하고 있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무게있게 다뤄질 수 있는 평가 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연구과제 수행의 성공여부를 판정할 때 정량적 목표 도달 여부보다 연구주제가 모험적이고 도전적인지, 성실하게 연구를 수행했는지와 같은 정성평가가 높게 반영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김 부총장은 “선진국들은 연구업적의 성공률이 20~30%인데 비해 한국은 90%이상의 성공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어느정도 연구가 진행돼) 그럴듯한 사전 발표가 이뤄질 수 있는 것들만 심사 통과를 시키기 때문”이라며 “현재 상황대로라면 사전 업적이 없거나 나이가 어린 학자들은 새로운 아이디어가 있더라도 이를 펼치기엔 장벽이 너무 높다고 느낄 것이며, 한번 통과한 사람들은 종착역까지 문제없이 갈 수 있어 무사안일에 빠지게 된다”고 비판했다.

이밖에도 5개 대학 연구부총장들은 연구 현장의 기조를 바꾸기 위해 대학 내 업적평가 시스템부터 선도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밝히면서, 많은 연구자들이 연구개발 재원의 상당 부분을 정부 연구비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에 정부도 이같은 노력을 함께해줄 것을 촉구했다.

한편, 이들은 이 선언문을 교육부,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전달할 계획이다.

박세환ㆍ신동윤 기자/gre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