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기업은 돈 넘치는데…가계는 저축 못하는 ‘불편한 현실’
기업 저축률 OECD 1위가계 저축률은 14위 그쳐“소비·투자감소 등 악영향 우려”
기업 저축률 OECD 1위
가계 저축률은 14위 그쳐
“소비·투자감소 등 악영향 우려”



가계 저축은 미래 투자 및 소비의 재원이 될 뿐 만 아니라 정부의 재정부담을 줄여주는 경제성장의 주요 변수다.

하지만, 우리나라 가계저축률은 OECD 평균(5.7%.)에도 미치지 못한다. 1200조원에 달하는 가계 부채로 저축할 엄두도 내지 못하는 가계가 부지기수다.

반면,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기업들은 넘치는 현금을 쌓아두고 있다.

기업 저축률은 OECD 1위, 가계 저축률 14위의 불편한 진실이다.

전문가들은 장기적인 가계저축률 하락이 경기 변동 대응력과 경기 활력을 약화시켜 미국이 초래한 글로벌 금융위기 상황이나 일본이 경험하는 저성장 구조의 고착화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우려한다.

▶경제성장엔 기업, 정부보다 가계저축률이 더 중요= 4일 KDB산업은행이 발표한 ‘우리나라 가계저축률의 변동요인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경제성장의 토대인 투자를 늘리기 위해서는 기업, 정부보다 가계저축률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80년부터 2014년까지의 총고정투자율과 저축률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가계저축률(0.5688)이 기업저축률(-0.3601), 정부저축률(0.1782)보다 상관관계가 높았다.

총고정투자율은 경제성장잠재력을 결정하는 주요요인으로 건설ㆍ설비ㆍ지식재산생산물투자 등으로 구성된다.

최근 우리나라의 총고정투자율은 1990년대 초반까지 증가했지만 이후 급락해 하락추세를 보이고 있다.

김대호 산업은행 선임연구원은 “국내 가계저축률이 2010년 초반 이후 소폭 반등세를 보이고 있지만 80~90년 수준에 비해선 절반 수준”이라면서 “2011년 이후 총고정투자율과 가계저축률과의 상관관계가 증가추세로 돌아선 만큼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가계저축률을 더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 경제개발기구(OECD,2013년)와 비교시 한국의 총 저축률은 2위로 최상위권이지만 가계저축률은 5.6%로 평균(5.7%)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총 저축률 2위는 기업(1위)ㆍ정부저축률(2위) 효과다. 국내 가계저축률은 1990년대 평균 19.8%였으나 2000년대 평균 5%대로 곤두박질쳤다. 90년대까지 1위를 지켰지만 2000년대기업에 내줬다.

▶가계저축률 하락이 가져올 악영향= 가계저축률 하락은 가계의 소비 여력을 감소시키는 것은 물론 기업의 투자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삼성경제연구소에 따르면 가계저축률이 1%포인트 하락하면 국내총생산(GDP)대비 민간소비 비중은 0.25%포인트 줄어들며, 총고정투자율은 0.36%포인트 감소하게 된다.

소비 및 투자 감소의 영향으로 경제성장률은 최대 0.15%포인트 둔화된다.

가계저축률 하락은 또 경기변동성에 대한 면역력을 약화시켜 충격에 취약한 경제 구조를 초래한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를 초래한 미국의 예에서 찾아볼 수 있다. 미국은 주택가격이 오르자 소비와 가계대출이 늘어나면서 저축률이 떨어졌다. 1984년 10.2%였던 미국의 가계저축률은 2005년에 1.4%까지 떨어졌고,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에는 0%대까지 하락했다. 이후 집값이 하락세로 돌아서자 낮은 가계저축률 탓에 원리금을 갚지 못하는 이들이 속출하기 시작했고, 결국 금융위기로까지 확산됐다. 일본이 겪고 있는 장기 저성장도 고령화와 이에 따른 가계 저축률 하락에 기인하고 있다.

일본의 가계저축률은 2014년 0.8%로 우리나라보다 낮다. 일본은 고령화와 초저금리 상태가 장기화되면서 가계저축률과 소비가 동시에 하락하고, 이는 다시 경제성장률을 떨어뜨리는 악순환에 빠져들면서 저성장이 고착됐다.

황혜진 기자/hhj6386@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