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위치추적을 추적하다] 재범방지 효과 VS 자포자기 초래…논란은 여전히 진행형
성폭력범은 평균 7년 부착
낙인 장기화로 사회적응 애로
일부선 자살등 극단적 선택도
교육·준수사항 이행 대상자
假해제제도 도입등 고려해볼만



성범죄자, 살인자 등의 범죄자에게 형 집행이 중단된 이후 ‘위치 추적기’를 달아 재범에 대비하는 ‘전자발찌’ 제도는 여전히 논란이 많다. 제도 도입 취지인 재범 발생 감소와 전과자의 재사회화에 도움이 되기는커녕 오히려 더 악화시킨다는 분석이 많아서다.


법무부에 따르면 전자발찌 착용 대상자 가운데 재범은 2008년 시행 첫 해 1건에 불과했으나 2009년 3건, 2011년 20건, 2013년 64건 등으로 증가세다. 우리보다 제도를 먼저 시행한 미국이나 영국에선 전자발찌 착용자의 재범률이 절반을 넘는다는 연구 보고도 있다. 제도 도입의 실효성을 따져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우리나라에서 전자발찌 부착 대상자들이 선고받는 부착 기간은 성폭력범은 평균 7년, 살인범은 1년, 강도범은 5개월 등이다. 법원은 성폭력범죄자의 경우 최대 30년까지 부착을 명령할 수도 있다.

전자발찌 법정 부착기간이 장기화하는 건 착용 대상자의 사회 적응에 큰 걸림돌로 작용한다. 세명대학교에서 작성한 법무부 전자발찌 제도 연구용역 자료에 따르면 전자발찌 평균 부착 기간이 길어지면 대상자의 자포자기 및 사회생활 위축, 자살 등 극단적 선택이 빈발한다. 전자발찌 부착자 자살은 현재까지 25명으로 전체 대상자의 0.54% 수준이다. 이는 일반국민 평균 자살률(0.029%) 보다 20배 높은 것이다.

또 전자발찌 부착 대상자의 64%는 매우 고통받고 있다. 전자발찌에 대한 심리적 불안과 수치심 때문에 외출을 하지 못하고,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하지 못한다. 이는 결국 경제적 어려움을 키워 오히려 범죄의 유혹에 다시 빠지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최정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법학과 교수는 “전자발찌라는 눈에 보이는 낙인을 부과해 처분 대상자의 자립을 방해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전자발찌제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선 전자발찌 ‘가(假)해제’ 제도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전자발찌 부착자가 특정한 교육을 이수하고, 기본적인 준수 사항을 성실히 이행하면 집행을 중지하는 제도다. 보호관찰심사위원회 등의 체계적 관리와 심사에 따라 보다 적극적으로 전자발찌를 풀수 있도록 해주자는 것이다.

박성수 세명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성범죄자의 경우 10년 가까운 긴 세월동안 전자발찌를 부착하고 과연 희망을 느끼며 재범 없이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을지 매우 걱정”이라며 “가해제 제도를 통해 전자발찌 부착자에게도 삶의 동기를 부여해야 진정한 교정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가해제 제도는 현재 성폭력 전과자의 경우 사실상 수혜를 전혀 받지 못하고 있다. 재범 발생률이 높다는 인식에 따른 것이지만 일정한 절차를 거쳐 재범 가능성이 사라진다면 이들에게도 적극적으로 혜택을 줘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박일한 기자/jumpcu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