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부동산의 정치학③] 아파트는 ‘유권자’, 인구이동은 ‘민심 변화’다
[헤럴드경제=정치섹션 국회팀]아파트가 ‘유권자’다. 그 ‘유권자’의 ‘스펙’이 투표성향을 가른다. 강남이냐 강북이냐, 자가냐 전ㆍ월세냐, 브랜드아파트냐 임대아파트냐, 20평이냐 40평이냐 등. 그리고 한국에서 부동산, 특히 아파트는 계급을 의미한다. 강남의 60평대 브랜드아파트 소유주와 강북 20평대 임대아파트의 거주자가 같은 직업이나 같은 연봉, 같은 취미, 같은 학력을 가질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는 것이 지금 대한민국 국민이 갖고 있는 ‘경험적 상식’이다.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이 아파트공화국이 된 2000년대 이후 그 두 명이 대선이나 총선에서 같은 당의 후보에 투표할 확률은 매우 적다는 것도 또 다른 ‘경험적 상식’이다. 


통계도 그렇게 말한다. 저자 손낙구의 ‘대한민국 정치 사회 지도:수도권편’에서 2002년에서 2008년까지 치러진 4차례의 선거를 분석한 결과다. 수도권의 경우, 투표율이 높은 동네일수록 집 가진 사람, 집을 두 채 이상 가진 다주택자, 아파트에 사는 사람, 대학 이상 학력자, 종교가 있는 사람이 많이 살았다. 한나라당(새누리당 전신) 득표율이 높았고, 민주(더불어민주당 등 진보성향 야당) 득표율은 낮았다.

지난 2011년 치러진 서울시장 보궐 선거에서 타워팰리스가 있는 서울 강남구 도곡2동 제4투표소에서 한나라당 나경원 후보는 88.1%, 박원순 범야권 단일후보는 11.6%를 획득했다. 반면 구로구 구로3동에선 나 후보가 30.8%, 박 후보가 68.7%을 얻었다.

이처럼 대선과 총선, 지방선거 등에서 이른바 부동산 소유형태에 따른 ‘계급투표’ 성향이 갈수록 뚜렷해지고 있는 가운데, 오는 4ㆍ13 총선을 앞두고 대규모 인구 이동이 일어나 표심을 가를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새로 든 사람과 빠진 사람으로 인해 해당 지역의 ‘계급구성’이 바뀌기 때문이다. 헤럴드경제가 부동산114로부터 자료를 받아 분석한 결과 오는 4ㆍ13 총선을 앞두고 지난해부터 2월까지 아파트 신축으로 전국에서 60만여명 이상 유권자의 인구 이동이 일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19대 때보다 13만여명이 늘어난 수치다. 또 20대 총선을 앞두고 500가구 이상 신규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 유권자가 대폭 교체된 선거구가 수도권에만 23개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난과 부동산 경기 변화를 반영한 현상으로, 수십 수백표차가 당락을 좌우하는 총선에서 결정적 변수로 떠오를 전망이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