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일자리는 없고, 소득은 줄고…지금 20대 서울에 집 갖기 어렵다
[헤럴드경제=홍성원 기자]정규직 취업률이 낮아지고, 소득증가율이 둔화하면 청년층은 서울에 있는 주택의 절반 이상을 살 수없게 되는 걸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의 주거실태조사와 통계청 가계동향 조사 등을 활용해 국토연구원이 2014년 25~29세였던 청년이 10년 뒤 구입 가능한 주택(실거래가 기준) 비율을 추정한 결과다.

20일 국토연구원의 ‘저성장시대 청년층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2011∼2020년 경제성장률을 3.6%로 놓았을 때 2014년 25∼29세인 청년이 10년 살 수 있는 서울의 주택 숫자는 전체의 56.4%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에 사는 35∼39세의 소득을 월 342만9000원, 순자산을 1억453만원으로 잡고 소득과 자산, 주택담보대출 등을 고려했을 때 부담할 수 있는 주택가격이 3억8421만원이라고 추정한 결과다.



이런 추정을 바탕으로 지역별로 35∼39세가 구입 가능한 주택 비율을 보면 경기는 83.7%, 인천은 96.1%였다. 비수도권(부담 가능 주택가격 3억5224만원)은 울산87.5%, 대구 89.0%, 부산 92.0%, 광주 97.4% 등이었다.

청년층이 구입할 수 있는 주택의 비율은 경제성장률이 낮아지면 급격히 줄었다.

애초 추정보다 경제성장률이 5%포인트 낮아져 청년층의 소득증가율이 낮아지면 서울의 주택 가운데 35∼39세가 살 수 있는 주택은 47.8%에 그쳤다.

경제성장률 하락에 더해 상용근로자 비율이 5% 포인트 줄어들면 35∼39세가 부담할 수 있는 주택가격이 3억3525만원으로 하락해 서울에 있는 주택 가운데 46.4%만 사들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제성장률ㆍ상용근로자 비율의 하락과 더불어 월세가구 비중이 5%포인트 증가해 청년층의 순자산이 추가로 감소하면 35∼39세가 살 수 있는 서울의 주택은 40.8%에 머물렀다. 서울에 있는 주택 10채 가운데 6채는 청년층에게 그림의 떡’이 되는 셈이다.

이수욱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집값은 대체로 급락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오른다”며 “이번 연구는 집값이 오르지 않아도 서울에 있는 집 가운데 절반을 청년이 살 수 없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hong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