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두산重, 한전기술과 ‘원전해체기술’ 공동 연구체계 구축
[헤럴드경제=이슬기 기자] 두산중공업은 지난 11일 서울 서초구 두산중공업 서울사무소에서 한국전력기술(KEPCO E&C)과 ‘원전해체 분야 기술 개발 및 국내외 원전해체사업 진출 등에서의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조직래 KEPCO E&C 원자력본부장과 김하방 두산중공업 원자력BG장 등이 참석해 향후 원전해체 분야 기술자립을 위한 공동 연구개발 체계를 구축하기로 약속했다.

조직래 한국전력기술 원자력본부장과 김하방 두산중공업 원자력BG장(오른쪽)이 11일 서울 서초구 두산중공업 서울사무소에서 열린 ‘두산重ㆍ한국전력기술, 원전해체사업 진출 위한 상호협력협약 체결식’을 마치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KEPCO E&C은 2000년경부터 원전해체 기술개발 조직을 운영하면서 국내 해체 엔지니어링 분야를 이끌고 있으며, 지난 7월엔 원전해체 경험을 보유한 독일의 에너지 전문기업 E.ON 테크놀로지와 기술전수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두산중공업은 원전 주기기 제조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으로 2017년 영구 정지 후 해체를 앞둔 고리 원전 1호기에 최적화된 해체 기술 개발에 매진 중이다. 이를 위해 두산중공업은 지난 9월 원전해체 전문기업인 독일 짐펠캄프와 협력협약을 맺었다.

조직래 한국전력기술 원자력본부장과(왼쪽에서 다섯번째) 김하방 두산중공업 원자력BG장(왼쪽에서 여섯번째) 등 두 회사 관계자들이 11일 서울 서초구 두산중공업 서울사무소에서 열린 ‘두산重 ·ㆍ한국전력기술, 원전해체사업 진출 위한 상호협력협약 체결식’을 마치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김하방 BG장은 “원전기술의 중심축인 ‘설계’와 ‘주기기 제조’ 부문 대표 기업들이 협력하게 됐다”며 “두 회사의 시너지를 발휘해 고리 원전 1호기 등 국내 원전해체 사업뿐 아니라 해외시장에도 적극적으로 진출할 것”미라고 말했다.

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