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백제 사비도성의 빙고 유적 확인
[헤럴드경제=신수정 기자] 백제 사비도성의 얼음을 보관하던 창고인 빙고가 확인됐다. 11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충남 부여군 구드래 빙고재 일원에서 백제시대 빙고와 조선시대 빙고가 확인됐다.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부여군과 (재)백제고도문화재단이 지난 4월부터 발굴조사 중인 부여 구드래 일원(명승 제63호) 내 유적과 부여 서나성(사적 제58호) 유적에 대한 현장 설명회는 오는 12일 오전 10시에 발굴현장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발굴현장 전경

부여 구드래 일원과 서나성은 부소산 서측의 백마강 나루터와 사비도성의 서측 추정나성을 가리킨다. 지난 7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부소산성, 정림사지 등을 포함하는 사비도성의 중요 지점이다. 따라서 이곳은 백제 사비도성과 관련된 중요 시설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큰 곳으로 기대를 모았다. 

백제시대 빙고
조사 대상지 일대는 옛 관아가 있던 마을로 빙고재와 장승배기, 구드래(큰 나라) 등의 고유지명이 남아 있다.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특수지형도와 1998년도 제작 지도에서도 빙고리, 빙고재로 기록돼 있다.

또 조선 후기 편찬된 ‘충청남도읍지’에 “현내면 빙고리는 관아에서 서쪽으로 1리(약 400m) 떨어져 있다”고 기록된 점으로 보아 빙고가 존재할 가능성이 큰 곳이었다.

발굴조사 결과 구드래 빙고재 일원에서 백제시대 빙고와 조선시대 빙고가 확인됐다. 그동안 발굴된 백제시대 빙고로는 한성 도읍기의 연기 나성리유적, 웅진기의 공주 정지산유적 빙고가 확인된 바 있다. 이번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빙고는 백제 사비기 빙고로 확인됐다.

조선시대 빙고
조선시대 빙고는 목조 빙고로 홍성 오관리유적에서 확인된 조선시대 빙고와 형태와 규모 면에서 상당히 유사하다. 이 빙고는 조선 전기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18세기 이후에 들어서면 석빙고의 형태로 변화하게 돼 빙고의 변천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 자료다.

빙고는 얼음을 저장하는 장방형(직사각형)의 구덩이와 얼음물을 내보냈던 배수로로 구성됐다.

백제시대 빙고의 얼음 저장 구덩이 규모는 7.2×4.7m이며, 깊이는 1.9m다. 구덩이의 바닥은 중앙부가 낮아지도록 오목하게 조성했으며, 중앙에 배수로로 연결되는 T자형의 물 유입부를 조성했다. 배수로의 현존길이는 4.6m, 너비는 0.7m, 깊이는 0.7m다.

조선시대 빙고의 얼음저장 구덩이의 규모는 16.4m(확인 길이)×6.0m이며, 양측벽에 장방형의 자른 돌을 쌓아 축조했다. 배수로의 잔존 길이는 17.3m, 깊이는 0.4m이며 바닥석을 깔고 측벽석을 세운 후 덮개돌을 덮었다.

현재 유적의 잔존 규모를 통해 부피를 계산해보면 백제시대 빙고는 약 48㎥, 조선시대 빙고는 약 100㎥ 정도다. 빙고 내부에 얼음을 가득 넣을 경우 15t 트럭으로 백제시대 빙고는 최소 5차 분량, 조선시대 빙고는 약 10차 분량으로 추정된다.

ssj@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