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 바깥 사람들, 노원ㆍ강서 아파트 많이 샀다
[헤럴드경제=박준규 기자]올해 내내 서울 바깥에 사는 사람들이 서울 안에 있는 아파트를 많이 산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를 가리지 않고 집을 사고 파는 것은 개인의 자유이지만, 투자수익만을 좇아 무분별하게 투자하는 흐름은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4일 한국감정원의 매입자거주지별 아파트 매입 현황을 들여다본 결과, 올해 3분기(1~9월) 동안 서울에서 팔린 아파트는 11만9143가구였다. 이 가운데 18.1%인 2만1513가구는 서울 바깥에서 사는 사람들이 매입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서울 외 거주자가 매입한 아파트가 1만4490가구였던 것과 견줘보면 48.5%나 늘어난 것이다.

외지인들이 매입한 아파트가 가장 많은 곳은 강서구와 노원구였다. 강서구는 1723가구가 팔려 전체의 8.0%를 차지했고 노원구는 1620가구(7.5%)가 매매됐다. 강남구(6.7%), 송파구(6.0%), 성북구(6.0%), 강동구(5.7%) 등의 지역이 뒤를 이었다.

올해 1~9월 사이에 서울에서 팔린 아파트 다섯 채 중 한 채는 지방 거주자가 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서와 노원 등 전세가율이 높으면서 소형 아파트가 밀집한 곳에 지방발(發) 투자수요가 몰렸다. 사진은 노원구 중계동 일대 주공아파트 단지들. [사진=헤럴드경제DB]

감정원이 발표하는 이 통계는 서울 외 거주자들을 시ㆍ군ㆍ구 단위까지 분류하지 않아 구체적으로 어느 지역에 사는지 파악하긴 힘들다. 다만 최근 시장상황을 미루어볼 때, 투자처를 찾는 부산과 대구 등 지방 거주자들의 자금이 대거 서울 아파트시장으로 유입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감정원 김세기 주택통계부장은 “서울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전세금이 매매가 수준에 육박하는 곳을 중심으로 지방 투자자금이 올라와 있다고 알고 있다”며 “적은 자기비용을 들여서 아파트를 사들인 뒤 자본이득을 기대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서와 노원은 소형ㆍ저가 아파트가 많은 지역이다. 지난달 기준 강서구 아파트의 평균 전세가율은 79.9%(KB국민은행 통계)로 성북구 다음으로 높다. 가령 매매가가 1억원이고 전셋값은 8000만원인 아파트를 ‘전세 끼고’ 사들이면 실질적으로 자기돈은 2000만원만 들어갈 수 있는 구조다. 이 때문에 소위 ‘갭 투자’를 노리는 지방 투자자들이 군침을 흘렸을 가능성이 있다.

노원의 전세가율(73.1%)은 상대적으로 조금 낮지만 매매가격이 2억원대인 전용면적 59㎡ 내외의 소형 아파트가 몰려 있어서 투자 매력이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노원구 상계동의 C공인 관계자는 “올 봄부터 대구, 구미 쪽에 사는 사람들이 이 일대 주공아파트를 전세 끼고 사들인 사례가 많았다”며 “일부는 주말에 단체로 올라와서 집을 보고 가기도 하지만, 중개업소에서 보내준 사진만 보고서 계약하는 경우도 많았다”고 했다.

이런 현상은 올해 국감에서도 지적됐다. 특히 갭 투자를 조직적으로 알선하는 세력이 있어서 전셋값 수준을 자꾸 올리는 등 시장을 교란한다는 지적도 끊이질 않았다.

국회 김태원 의원실(새누리당) 관계자는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투자하는 세력이 조직적으로 움직이는 것의 문제점은 정부도 인식하고 있고, 공적역할(감시자)을 통해서 걸러낼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부동산114 함영진 리서치센터장은 “갭 투자는 집값 상승세가 둔화된다든가 전셋값이 꺾인다면 사그라들 가능성이 크지만, 정작 큰 문제는 비싼 보증금을 치르고 들어간 세입자들에게 고스란히 깡통전세 리스크가 생긴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whywh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