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스마트홈 핵심 요소는 지능형 서비스”
KT硏 “통신사가 시장 선도”


가전 제품을 통신네트워크와 연결해 스스로 작동하게 하는 ‘스마트홈’이 새로운 미래성장동력 산업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지능형 서비스’가 이를 좌우할 핵심 요소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이로 인해 급성장이 예상되는 국내외 스마트홈 산업에서 유무선 네트워크 인프라를 가진 통신사가 가전 제조사나 운영체제(OS) 기반 플랫폼 사업자를 제치고 초기 ‘개화 단계’를 이끌고 있다는 주장이다. 

15일 KT경제경영연구소 ‘스마트홈 시장을 선도하는 통신사 홈 IoT’ 보고서에 따르면 여전히 서비스 컨셉트나 구상을 밝히는 수준에 머물고 있는 정보통신기술(ICT) 단말 제조사와 글로벌 플랫폼 사업자와 달리 국내외 통신사업자들이 경쟁적으로 홈 IoT 서비스를 상용화하며 스마트홈 시장을 적극 선도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LG유플러스는 지난 7월 IoT 허브와 가스락, 열림감시센서 등 보안과 에너지 절감 관련 6종의 홈 IoT 서비스인 ‘IoT@home’ 서비스를 출시했다. 이 서비스는 출시 두 달만에 2만 5천명의 가입자를 모집하며 주목을 받았다. KT는 100여 개의 국내외 글로벌 IT기업들이 참여한 IoT 사업자 연합 ‘올레 기가 IoT 얼라이언스’를 창설했고, SK텔레콤은 IoT 통합 플랫폼인 ‘모비우스’를 기반으로 제습기, 보일러, 도어락, 가스밸브차단 등 다양한 기기 제조사와 포괄적인 협력을 구축하며 스마트홈 서비스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보고서는 “LG유플러스가 기존 가전기기 외에 별도의 소형 센서와 제어기기 위주로 B2C 시장의 초기 단계에 진입을 모색하고 있다면, KT와 SK텔레콤은 다양한 제조 회사와의 협력 관계를 확대해 가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분석했다.

해외 스마트홈 시장 역시 통신 사업자들의 진출이 두드러진다. 미국 통신사 AT&T는 지난 2013년부터 홈 보안 및자동화 서비스인 ‘디지털 라이프’를 제공하고 있다. 미국 콤캐스트의 ‘X피니티 홈 서비스’, 스위스콤의 ‘큐잉 홈’, 프랑스오랑주의 ‘홈 라이브’, 독일 도이치 텔레콤의 ‘퀴비콘’ 등도 통신사가 제공하는 스마트홈 서비스의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글로벌 통신사들의 스마트홈 상품은 도어 및 에너지 센서, 연기 감지, 전등 점등 및 밸브 잠금, 헬스케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에 따르면 국내 스마트홈 시장은 올해 10조 원 규모를 돌파해 매년 20%대의 성장세로 2018년에는 18조 9122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에 따르면 글로벌 스마트홈 시장은 올해 575억달러(65조원) 규모에서 2019년 1115억 달러(123조원) 수준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형석 기자/su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