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청년채용 선언한 대기업들, 성공사례로 보여주길
그간 자금을 쌓아둘 뿐 일자리 창출을 위한 투자에 인색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던 대기업들이 대대적 채용 계획을 내놨다. 삼성그룹은 향후 2년간 1000억원을 투자해 3만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청년 일자리 종합 대책’을 발표했다. 연간 2만6000명을 채용했던 2012년과 비교해도 적지 않은 숫자다. 현대차그룹도 올해 청년 일자리 1000개를 추가해 역대 최대 규모인 1만500명을 채용하기로 했다. 2년간 2만4000개 고용을 약속했던 SK는 경영에 복귀한 최태원 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반도체를 중심으로 46조원을 투자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LG디스플레이도 2018년까지 10조원대 투자를 진행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앞서 한화는 2017년까지 1만7569명, 롯데는 2018년까지 2만4000명의 신규 채용을 선언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달 창조경제혁신센터 관련 대기업 총수 17명을 청와대로 초청한 자리에서 “유망한 청년들에게 좋은 일자리를 많이 제공해 달라”고 거듭 부탁했다. 주요 그룹들이 앞다퉈 투자 및 고용 대책을 내놓고 있는 것은 박 대통령의 요청에 대한 화답인 셈이다. 그렇기는 해도 대기업들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오른 청년 고용절벽 해소에 나서는 것은 반가운 일이다.

주요 그룹의 청년 일자리 대책에서 주목되는 것은 실제 고용으로 이어지는 인턴십이다. ‘삼성 고용 디딤돌’은 협력사 취업 희망자 3000명을 대상으로 3개월은 삼성 계열사에서 직무교육을, 3개월은 협력사에서 인턴십을 거친 뒤 삼성 협력사 채용으로 연계한다. 협력사에 4년 이상 근무할 경우 삼성 계열사 경력사원으로 지원할 수 있게 통로를 열어놨다. 이는 청년들의 대기업 편중 현상을 완화하고 유망 중소기업의 인력난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다. 다만 실제로 협력사를 디딤돌로 대기업 취업에 성공한 사례들이 많이 나오도록 하는 것이 관건이다. 한편으로 대기업과 협력사의 근무 여건 격차를 줄이는 데도 힘쓴다면 대졸자의 구직난과 중소기업의 구인난이 엇갈리는 미스매치 현상을 줄이는 데도 기여할 것이다.

기업들의 청년 일자리 대책이 일회성 방안이나 자투리 일자리 만들기로 흐르지 않으려면 정부와 정치권도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으로 힘을 보태야 한다. 임금피크제 도입을 위한 노사정 대타협은 그 첫걸음이다. 수도권 규제를 선별적으로 풀어 해외로 나가는 투자도 붙잡아야 한다. 국회는 서비스산업기본법 등 경제활성화 3법을 하루속히 통과시켜 새로운 일자리가 공급되도록 숨통을 터줘야 할 것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