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프리즘 - 조문술] 메르스가 남긴 보건의료 개선 과제들
증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이 형식적 요건만 남기고 사실상 종식됐다. 두달여 메르스가 안긴 사회경제적 손실은 보수적인 정부 추산으로도 4조원이 넘는다. 이번 사태로 감염병 대책의 전면적인 손질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전자건강보험증(IC카드), 포괄간호서비스, 공공병원 등 보건의료제도 차원의 몇가지 미비점도 여실히 드러났다.

우선 전자건강보험증 도입. 국내 첫 환자가 확진된 5월 20일 이후 메르스의 급속한 확산은 극도의 공포를 안겨줬다. 먹고 사는 문제마저 마비되다시피 했다. 환자 진료정보 공유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아 초기대응에 실패했기 때문으로, 메르스 환자 조회시스템은 최초 확진 후 17일만에야 가동됐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이 바로 전자건강보험증이다.

이는 보험증 조회만으로 의료기관 방문이력, 처방내역 등을 확인할 수 있는 IC칩이 내장돼 비상시 신속한 역학조사가 가능하다. 질병이 어디서, 어떤 경로로 들어왔는지 알 수 있는 셈이다. 뿐만 아니라 개인응급상황 시 약 부작용이나 만성질환내역 확인을 용이하게 하고 타 의료기관 이용시 중복검사를 최소화하는 장점도 있다. 물론 개인병력 등 민감정보 유출의 위험성이 없지는 않다. 독일, 벨기에 등 유럽의 보완책을 곁눈질하면 된다.

포괄간호서비스 부재와 가족간병 관습은 메르스 확산에 기름을 부었다. 간병인과 보호자가 상주하는 다인실 환경이 바이러스를 퍼날랐다. 메르스 확진자 186명 중 34.4%(64명)가 환자가족이나 문병객이라는 점이 이를 증명한다. 한국 특유의 간병ㆍ문병문화를 바꾸지 않으면 똑같은 사태 재발은 예정돼 있다.

간호사가 중심이 돼 간병 및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포괄간호서비스는 전문서비스 제공, 바이러스확산 제어, 간병비부담 완화, 일자리 창출 등 여럿 장점을 갖고 있다. 실제 한 대학 조사에 따르면 기존 병실에서 1000명당 6.9명이 발생하는 병원 내 감염이 포괄간호병실에서는 2.1명으로 줄었다. 현재 하루 7만∼8만원 드는 간병인 고용비용도 6인실 기준 간병비 3800~7450원으로 10분의 1에도 못 미쳤다. 도입을 머뭇거릴 이유가 없는 셈이다.

공공병원의 부족도 감염병을 몇 배로 키우는데 기여했다. 메르스가 한창 유행이던 6월 전염병의 병원 내 전파를 막을 수 있는 음압병실이 부족해 난리를 쳤다. 상당수 민간병원은 수익성 탓에 고비용 저수익의 음압병실조차 없었다. 국립중앙의료원, 서울의료원, 서울시 보라매병원 등 대형 공공병원이 메르스 환자를 도맡이 치료한 이유다.

소득중심의 건강보험료 부과체계 개선도 시급하다. 현행 건강보험 부과체계에서는 같은 소득과 같은 재산의 국민이더라도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피부양자 등 자격에 따라 보험료 부담에 차이가 발생한다. 연전 ‘송파세모녀 사건’이 이 문제를 적나라하게 대변한다. 어디 이뿐인가. 생계형체납자, 직장 피부양자의 무임승차, 고수입 자영업자의 허위 직장가입자격 취득 등 숱한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게 현행 부과체계다. 보건의료체계 선진화의 밑바탕인 보건의료제도의 합리적인 개선을 촉구한다. 

freihei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