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위기의 조선업, 살 길은 고강도 구조조정 뿐
예상대로 국내 조선업체들이 사상 최악의 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3대 조선사는 올해 2분기에 모두 4조7000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고 공시했다. 잘 나가던 조선업 발목을 잡은 것은 ‘해양플랜트사업’이다. 해양플랜트는 바다 밑 석유 탐사와 시추, 저장까지 할 수 있는 대형 해상구조물로 정밀한 설계와 고난도 작업이 요구되는 분야다. 그런데 설계 능력과 시공 기술 등의 준비도 갖추지 않은 채 시장에 뛰어들었다 재앙을 만난 것이다. 우리 업체끼리의 출혈 수주경쟁도 한 요인이 됐다.

대우조선해양이 2011~2012년 노르웨이 송가오프쇼어로부터 수주한 극지용 반잠수식 해양시추선이 대표적 사례다. 이 회사는 이런 구조물을 만들어 본 경험도 없는데 4척을 2조4000억원에 덜렁 수주했다. 그러나 실제 들어간 돈은 3조원이 넘었다. 전문인력도, 경험도 부족하다보니 작업 공정이 늦어지고 비용은 예상보다 훨씬 많아져 대규모 손실을 본 것이다.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도 규모의 차이는 있지만 사정은 비슷하다.

조선업은 한 때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자랑하며 우리 경제의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했다. 그러니 조선업의 위기는 한국 경제의 위기나 마찬가지인 셈이다. 조선업이 하루 속히 제자리를 찾아야 하는 이유다. 이를 위해선 고강도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 특히 부실이 심한 대우조선은 정상화에 적어도 1조원 이상의 증자가 필요한 상황인 만큼 자산매각과 인력감축 등 대대적인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 지난해 1500명 이상 관리직 희망퇴직이라는 선제적 인적 구조조정을 마친 현대중공업도 긴축의 고삐를 여전히 죄고 있는 마당이다. 업황이 회복되고 회사가 살아야 근로자도 일자리를 지킬 수 있다. 노조의 상황인식과 적극적인 협력이 어느 때 보다 요구되는 시점이다. 실적 부진의 직접 원인이 됐던 해양플랜트 사업은 철저한 반면교사로 삼아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만들어야 한다. 그동안 비싼 수업료를 지불했으니 관련 기술력을 키워 조선 경쟁력의 원천으로 연결시키라는 것이다.

따지고 보면 조선업만의 문제가 아니다. 전자, 자동차, 철강 등 전통적 강세를 보였던 제조업 전반이 줄줄이 내리막 길을 걷고 있다. 삼성전자는 30일 전분기보다 15% 많은 6조9000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고 발표했지만 이전 수준 회복에는 아직 미치지 못하고 있다. 원천 기술개발과 규제 개혁 등 정부와 기업이 더 분발해야 한다.노동시장 개혁은 제조업 경쟁력 회복의 필수요건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