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다이애나비ㆍ마릴린 먼로가 입었던 드레스는…
 -프랑스 럭셔리 브랜드 디올, 한국서 대규모 전시회 ‘에스프리 디올-디올 정신’



[헤럴드경제=김아미 기자] 프랑스 럭셔리 브랜드 디올의 빈티지 드레스 200여점이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 걸렸다. 다이애나비, 엘리자베스 테일러, 마릴린 먼로가 입었던 드레스부터, 바로 한달 전 깐느 영화제에서 배우 샤를리즈 테론이 입었던 노란색 드레스도 나왔다. 디올이 1980년대부터 경매 등을 통해 수집한 ‘세상에 단 하나밖에 없는’ 디올 컬렉션이다.

디올이 ‘에스프리 디올-디올 정신’이라는 타이틀로 한국에서 대규모 전시회를 열었다. 1948년부터 2015년 현재에 이르기까지 70년에 가까운 패션하우스 디올의 역사를 예술 작품들과 함께 ‘예술’로 버무린 전시다. ‘에스프리 디올’이라는 타이틀로 디올이 패션 전시를 선보이는 것은 2013년 상하이, 2014년 도쿄에 이어 올해 한국이 세번째다.

이번 전시는 지난 17일 강남구 청담동 ‘디올 서울 부티끄(하우스오브디올)’ 오픈을 기념해 동시에 개최된 이벤트이기도 하다. 매장 오픈에 맞춰 베르나르 아르노 루이비통모에헤네시그룹(이하 LVMH) 회장이 한국을 전격 방문, 유통업계 대표들과 만나는 등 디올은 아시아 패션의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는 한국 시장에 각별히 공들이고 있는 모습이다.

20일부터 오는 8월 25일까지 DDP에서 무료로 진행되는 ‘에스프리 디올’은 디올의 마케팅과 상관없이 꽤 볼 만한 전시다. 특히 패션과 미술에 관심있는 사람들의 흥미를 끌 만한 요소들을 전시장 곳곳에 촘촘하게 배치해 놨다.

그 중에서도 한국 작가들과의 콜라보레이션이 두드러진다. 서도호, 이불, 김혜련, 김동유, 박기원, 박선기 등 한국 작가들과의 콜라보레이션 결과물은 디올과 최상의 ‘케미’를 이뤘다. 각각의 작가들이 그동안 선보였던 작업 방식을 이어가면서 디올이라는 꿈과 욕망의 결정체를 예술로 승화시켰다.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집속의 집’을 선보여 대중에 이름을 각인시켰던 설치미술가 서도호는 파리 몽테뉴가의 하우스오브디올 구조물을 비슷한 방식으로 제작해 선보였다. 이불 작가는 메탈릭한 샹들리에 형태의 설치물을 청담동 부티끄 1층 매장과 전시장에 내놨다. 디올 쟈도르를 형상화한 박선기 작가의 금빛 비즈 샹들리에 작품은 금빛으로 빛나는 누드 실크 시폰 드레스들과 함께 궁극의 화려함을 구현했다.

전시에서는 1940년대 크리스찬 디올(Christian Diorㆍ1905-1957) 시대부터 입생로랑, 장 프랑코 페레, 존 갈리아노, 라프 시몬스까지 디올의 역대 디렉터들의 의상을 시대별로 볼 수 있다. 2세기에 걸친 복식사가 파노라마처럼 펼쳐졌다. 칵테일 드레스, 이브닝 드레스, 턱시도 드레스, 뷔스티에 데이 드레스 등 디올의 정신을 구현한 다양한 형태의 드레스들이 디지털 영상을 배경으로 극장같은 무대를 장식했다.

또 1920년대 갤러리를 운영하던 청년 디올이 당대 동년배 예술가들과 교우하며 어떻게 패션에 예술을 접목했는지도 한눈에 볼 수 있다. 달리와 함께 만찬을 즐기는 모습이라든지, 피카소 전시회를 20세기 아방가르드 작가 만 레이가 찍은 사진 등도 소소한 볼거리다.

알베르토 자코메티, 살바도르 달리, 피카소, 잭슨 폴록, 장 콕토, 스털링 루비 등의 예술가들로부터 영감을 받아 탄생한 드레스들은 발길을 오래도록 붙잡아 둔다.

amigo@heraldcorp.com

<사진으로 본 ‘에스프리 디올’ 전시회>





 
사진=전시장 입구에서 관람객들을 맞이하는 것은 설치미술가 서도호의 작품이다. 프랑프 파리 몽테뉴가 30번지에 있는 하우스오브디올을 형상화했다.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선보였던 ‘집 속의 집’ 작품처럼, 얇은 직물과 가느다란 철로 구조물을 만들었다. 가운데 검은색 실루엣으로 보이는 바 수트(Bar suit)는 크리스찬 디올이 제작한 수트 중 가장 유명한 작품. 1947년 2월 12일 첫 쇼에서 선보였다. 곡선을 통해 여성성을 회복하고자 했던 무슈 디올의 열망이 담겨 있는 작품이다. 디올은 이 디자인을 기반으로 디올 하우스를 발전시켰다.


사진=김동유 작가의 작품. 마를린 먼로의 얼굴을 일일이 손으로 그려 무슈 디올의 초상화를 제작했다. 프린트가 아닌 수작업이어서 그림마다 먼로의 얼굴이 미세하게 다르다. 오뜨 쿠뛰르 정신을 예술을 통해 상징화 한 작품. 오뜨 쿠뛰르가 오랜 시간에 걸친 연구를 통해 의상의 형태를 구현하듯, 김동유 작가도 오랜 시간 공을 들여 초상화를 완성했다.


사진=디올 시대부터 라프 시몬스까지 시대별 드레스들이 나와 있다. 뒷 편으로 보이는 영상은 몽테뉴가에 있는 하우스오브디올의 실제 모습.


사진=크리스찬 디올이 어떻게 처음으로 예술의 세계에 발을 들이게 됐는지 알 수 있는 방이다. 1920년대 20대의 디올은 6년동안 갤러리를 운영하면서 살바도르 달리, 알베르토 자코메티 등 동년배의 많은 아티스트들과 교우했다. 이 곳에서는 예술가로부터 영감받아 제작한 드레스들을 볼 수 있다.

사진=디올의 정원을 상징하는 공간. 정원 가꾸기를 즐겼던 디올은 자연에 대한 사랑을 향수로 표현하기도 했다. 특히 장미는 디올 세계를 상징하는 중요한 꽃. 한국작가 김혜련은 12개의 장미 그림을 이번 전시에서 선보였다.



사진 =크리스찬 디올, 입생 로랑, 장 프랑코 페레, 존 갈리아노, 라프 시몬스 등 1948년부터 2015년까지 디올 하우스를 이끌었던 디렉터들의 시대별 의상이 전시돼 있다.


사진=건축가를 꿈꿨던 디올은 원단으로 의상이라는 구조물을 만들었다. 이 방에서는 디올의 실제 드로잉과, 공방에서 제작된 캔버스 작업(하얀색 의상 구조물)을 볼 수 있다.

사진=다이애나비, 마릴린 먼로, 엘리자베스 테일러 등 명사들이 입었던 디올의 드레스들이 전시돼 있다. 샤를리즈 테론과 리한나가 가장 최근에 입었던 드레스도 있다.



사진=디올에 영감을 주는 요소들을 보여주는 방. 베르사유 궁전의 건축 양식과 마리 앙투아네트, 그리고 18세기 사람들의 의상에서 모티브를 얻은 수트들이다.

사진=매력적인 젊은 여성들을 위한 라인인 미스 디올의 아이디어가 구현된 곳. 패션쇼 무대를 온통 꽃으로 뒤덮은 라프 시몬스의 디올 첫 패션쇼 무대를 재현했다. 맨 오른쪽은 시몬스가 수천개의 비단 조각을 엮어서 만든 드레스. 전시장 가운데에는 이불 작가의 작품이 설치돼 있다. 누에고치 모양의 메탈릭한 구조물은 변화라는 미래지향적인 아이디어를 담고 있다. 작품 안으로 들어가 볼 수도 있다.

사진=한국작가 박기원은 커텐과 빛을 이용한 작품과 전통 한지를 이용한 작품을 선보였다.


사진=디올의 주요 색상인 분홍색과 빨간색으로 미니어처 작품들을 선보였다. 실제 크기의 드레스를 제작할 때와 같은 방법으로 만들었다. 꽃 프린트는 미니어처 사이즈에 맞게 재제작했다.



사진=한국작가 박선기의 비즈 샹들리에 작품이 디올 전시장의 마지막을 장식하고 있다. 향수 쟈도르로부터 영감을 받아 빛과 금으로 만든 작품이다. 금빛 드레스들과 어우러졌다.



사진=하우스오브디올 전경 사진. 세계적인 건축가 크리스찬 드 포잠박(Christian de Porzamparc)이 설계하고 피터 마리노(Peter marino)가 내부 인테리어를 맡았다.



[사진제공=디올]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