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디톡스 열풍의 힘? ‘자몽’, 오렌지 넘어섰다
[헤럴드경제=손미정 기자] 대표적인 감귤류 수입과일인 자몽과 오렌지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올해 대한민국에 거세게 불었던 디톡스 열풍에 힘입어 자몽이 명실공히 인기 수입과일로 자리매김한 반면 오렌지는 작황부진의 영향으로 매출 감소르 면치 못한 것이다.

9일 롯데마트에 따르면 올해 1~11월 수입과일 매출을 분석한 결과, 오렌지가 전년 대비 31.9%로 크게 감소하며 부진했지만 자몽 매출은 118.9%로 2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트 측은 오렌지의 부진과 관련, 올해 초 미국 캘리포니아 산지 냉해 피해로 작황이 좋지 못해 생산량이 급감했고, 당도와 품질까지 저하된 것이 큰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1~10월 오렌지 수입량은 9만 6353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 감소했다. 


오렌지의 부진을 만회한 것은 자몽이었다. 산지 다양화와 FTA 관세 인하 효과로 자몽의 국내 공급량이 늘면서 가격이 저렴해졌고, 디톡스 다이어트 열풍으로 그 수요가 늘어난 것이 주된 이유다.

장기적으로도 자몽의 신장세는 꾸준한데 롯데마트가 최근 5년간 수입 감귤류 매출을 살펴본 결과 자몽은 5배 가량 성장, 5년 전에는 오렌지 매출의 5% 수준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오렌지의 절반 수준(48.5%)까지 매출이 크게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롯데마트는 오렌지 가격이 상승하자 대체 상품의 산지 개발에 나서, 직소싱을 통해 올해 1월 처음으로 미국산 오렌지보다 10% 가량 저렴한 이스라엘 자몽을 선보였고, 비수기인 8월부터는 남아공 자몽을 선보이고 있다.

신경환 롯데마트 수입과일팀장은 “오렌지가 산지 작황 부진으로 주춤한 사이, 웰빙 바람을 타고 올 한해 자몽이 인기 수입과일로 부상했다”며, “산지 발굴과 직소싱을 통해 경쟁력 있는 상품을 지속 선보이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balm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