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게임人 600명 직격 설문] 휘청이는 게임산업 '돌파구는 이것'
- 산업 위기 돌파구 '정부의 발빠른 대처' 시급 
- 수익분배 개선ㆍ투자 활성화 통한 자금 확보 절실
- 모바일게임 수익분배 이통사 수수료는 '불공정'
- 글로벌 진출로 새로운 수익 확보 '공감대 형성'


글로벌 경기 침체 속에서도 매년 성장을 거듭하던 대한민국 게임산업에 적신호가 들어왔다. 모바일게임 중심의 시장 환경 속에서 그 동안 산업의 허리를 지탱했던 중견 온라인게임사들이 매출 하락세가 이어져 산업구조 붕괴에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반면, 글로벌 게임사들의 국내 진출은 더욱 가속화되면서 게임 개발 의지마저 꺾고 있는 실정이다. 설상가상으로 국내 게임산업을 옥죄어 오는 규제 관련 법안들은 산업의 미래를 더욱 우울하게 한다.
절체절명의 게임산업 위기에 대해 게임관련 종사자들은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 본지는 현장에서 근무하는 업계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실제로 체감하는 '게임산업 위기와 미래 전망'에 대해 대규모 설문조사를 통해 해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그 첫 번째로 "게임산업의 위기, 여러분의 생각은?"이라는 주제를 갖고 지난 10월 17일부터 21일까지 총 5일 간, 설문을 진행했다. 총 624명의 게임업계인들이 설문에 참여, 관련 문제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내놨다.

응답자 중 84%가 '게임산업 위기' 공감
'게임산업 위기'에 대해서는 업계인 대부분이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게임산업이 위기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84%(526명)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위기가 아니다'라고 답한 15%(93명)와 무응답 1%(5명)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은 휘청이는 게임 산업의 우울한 단면을 방증하고 있다.
게임산업을 위기라고 생각하는 526명에게 "게임산업의 위기의 원인은 무엇이라 생각하는가"라고 다시 물었다. '과도한 게임규제 정책' 때문이라는 답변이 전체 응답자의 과반수가 넘는 52%(273명)로 가장 많았다. 게임산업 투자 냉각 15%(80명), 플랫폼의 급격한 변화 10%(50명), 글로벌 게임사들의 역습 7%(38명)이 그 뒤를 이었다.
"과도한 게임 규제 때문에 국내에서 게임사업을 하기 힘들다"는 의견이 대부분이었으며, "게임규제가 더욱 옥죄어 온다면 다른 나라에 가서 게임 개발을 하겠다"는 의견도 적지 않았다.
'과도한 게임규제 정책'은 게임산업 이미지 실추로 이어지면서 인재 기반의 게임산업에도 악영향을 준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온라인에서 모바일로 급격히 전환된 플랫폼 변화에 대해서는 '위기'라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10%에 그쳐, 시장 변화에 의외로 잘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게임산업 위기 타개를 위한 가장 현명한 방법은 무엇이라 생각하는가'는 질문에 대해서는 '주무부처의 발 빠른 대처(규제 완화 등)'를 지목한 응답자가 49%(257명)에 달했다. 이는 '위기'의 원인과 인과관계로 보이며, 게임산업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게임규제완화'가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글로벌 시장 개척'이 22%(115명)의 지지를 얻으며, 글로벌 매출 활성화를 통한 게임 위기 극복론도 힘을 얻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마지막으로 '변화하는 환경에 게임사들의 유연한 대응'이 18%(97명) 응답으로 그 뒤를 이었다.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게임산업 지원 정책이 뒷받침되는 상황에서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 등에서 매출 다각화가 절실해 보인다.

 

   
개발 환경에는 만족하지만…

국내 게임 개발 환경에 대한 점수는 높은 반면, 개선할 부분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설문 조사 결과 나타났다.
'국내 개발 환경'에 대한 만족도(1~5점)를 묻는 질문에 4점 37%(231명), 5점 29%(182명), 3점 25%(152명) 등으로 3점 이상의 점수를 준 응답자가 전체 인원의 91%를 기록했다. 초기 게임 개발자들의 꾸준한 노력의 결과, 게임 콘텐츠가 산업군으로 확실히 인정받으면서 '개발 환경' 만큼은 상당부분 만족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어떤 부분에 대해서 가장 만족하지 못하는가"는 질문에 대해서는 '게임산업의 발전 가능성'이 46%(290명)를 차지해 산업의 미래를 걱정하는 이들이 많았다. 이어 처우(연봉 등)가 19%(117명), 현재 개발하고 있는 타이틀의 방향성 13%(83명), 회사 비전 10%(60명) 등을 꼽았다.
게임 개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게임 규제'가 다시금 1위로 부각되면서 게임업계 종사자들은 하루 빨리 이 문제가 해결되기를 원하고 있었다.

 

   
"개발 환경의 개선을 위해서 어떤 문제가 우선 해결돼야한다고 생각하는가"라는 '게임 규제 정책'이 31%(195명)의 지지를 받으며 가장 많은 응답률을 보였다. '게임사에 대한 투자 활성화'가 27%(169명), '퍼블리셔와의 수익분배'가 20%(126명)로 자금 확보에 대한 의견들이 뒤를 이었다.

 

   
반면, 플랫폼의 다변화에 대해서는 7%(43명)로 현재 플랫폼에 대해서는 큰 불만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대부분이 '게임 개발 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일방적인 게임규제 정책 철폐와 함께 투자, 수익분배 개선을 통한 자금 확보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모바일게임 수익 분배 이통사는 '0'

현재 모바일게임 업계에서 가장 핫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수익 분배 문제에 대해서는 이통사들의 수익 분배를 0으로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가장 높았다.
모바일게임 시장 수익 분배율은 기본적으로 개발사와 플랫폼 홀더(구글, 애플 등) 7:3으로 나뉘어진다. 즉, 100만원의 수익을 올렸을 때, 개발사에게 돌아오는 수익은 70만원, 나머지 30만원은 플랫폼 홀더에게 수수료로 지불해야한다.
여기서 간과되고 있는 점이 바로 이동 통신사(SKT, LG, KT 등, 이하 이통사)의 수수료다. 플랫폼 홀더들은 자신들의 경우 전체 매출의 3% 수수료만을 가져간다고 강조한다. 나머지 27%는 이통사에게 보내진다는 것이다.

 

   
다시 정리하면, 개발사 : 플랫폼 홀더 : 이통사의 모바일게임 수익 분배를 100으로 잡았을 때, 70 : 3 : 27이 된다. 여기에 퍼블리셔와 카카오와 같은 채널 서비스를 더하면 개발사의 수익률은 현저하게 낮아진다.
관련 사안에 대해서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조사에 착수했고, 개발사 대부분이 수익 개선을 간절히 바라고 있다.
"모바일게임에서 현재 수익 배분(퍼블리셔, 플랫폼 홀더, 이통사)이 적당하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 92%(572명)이 '아니다'라고 답했다. 수익 배분 개선에 대한 의견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모바일게임으로 시장이 재편됐음에도 지속적인 어려움이 이어지는 것이 바로 이런 불공정한 수익 배분 때문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개발사 : 퍼블리셔 : 이통사 : 플랫폼 홀더' 수익 배분의 가장 이상적 배분은 무엇이라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개발사 : 퍼블리셔 : 이통사 : 플랫폼 홀더'의 비율이 '6 : 2 : 0 : 2'가 적당하는 의견이 30%(190명), '7 : 2 : 0 : 1'의 비율이 27%(170명), '5 : 3 : 0 : 2' 23%(141명)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응답 인원의 80%가 이통사의 수익 배분이 불공정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통사의 경우, 데이터 통신료를 받는 입장에서 수수료를 왜 떼어가는지 이해할 수 없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한편, 카카오게임하기 등에 입점에 대해서는 개발사의 선택 사항으로 판단된다는 의견을 보였다.

 

   
설문 조사 결과를 토대로 종합해 보면, 게임종사자들은 자신들이 하는 일에 대해서는 만족하지만, 게임산업 발전 가능성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했다. 정부의 지원 정책까지는 아니더라도 발목을 잡는 강압적 규제의 철폐를 가장 원하고 있었으며, 균형 발전을 위해서는 유동 자금의 균등한 분배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상현 기자 gam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