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쉼표> 세종의 탄식
한글창제 작업이 한창이던 어느 한겨울 밤, 집현전에 불이 켜진 것을 본 세종이 내관에게 그 안을 살펴보라 명한다. 학사 신숙주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 세종은 그가 언제까지 일을 하는지 지켜보도록 하고 궐로 가 기다린다. 새벽닭 울음소리가 나서야 내관이 돌아오자 세종은 입고 있던 초구(수달가죽으로 만든 두루마기)를 벗더니 덮어주라 이르고 침전에 든다. 이 사실을 뒤늦게 안 신숙주는 뜨거운 눈물로 답하고 한글 연구에 더 매진한다.

세종의 대왕답고 성군다운 성품이 깃든 일화는 숱하다. 그 중 또 하나, 충북 진천 인근의 성평(聖坪)은 원래 북평천이었다. 한글창제에 밤낮으로 애쓰다 지독한 안질에 걸린 세종이 청주에 있는 초정약수로 치료차 오가며 유숙한 곳이다. 성군(聖君)이 여장을 풀고 시름을 던 곳이라 하여 주민들은 성평으로 고쳐 이름 지었다.


9일은 제568주년 한글날이다. 어느 해보다 행사준비로 분주하다. 때맞춰 국립한글박물관도 개관한다. 서울 용산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부지 내 연면적 1만1322㎡(약 3425평)에 지하1층·지상3층 규모로 훈민정음 해례본을 비롯해 1만1000점의 존귀한 유물이 전시돼 있다. 최고급 전용 박물관에다 한글날도 지난해부터 법정 공휴일로 재 지정됐으니 반가운 일의 연속이다.

그러나 이는 외형의 변화일 뿐이다. 본질은 심각한 한글 훼손 실태다. 청소년들의 웬만한 대화는 욕반 비속어 반도 모자라 외계인 화법으로 둔갑한지 오래다. ‘멘붕(멘털붕괴)’이라는 표현이 안방극장에서 버젓이 통하는 것은 세태반영이라 백번 양보하더라도, 골초였던 한 유명 소설가가 금연비법으로 ‘x나게 버티라’는 뜻이라며 ‘존버정신’이라는 해괴망측한 언어를 공공연하게 쓰는 현실은 어떻게 설명돼야 하나. 광화문 세종대왕 상(像)의 장탄식이 들린다. 

황해창 선임기자/hchw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