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CEO 보수와 사외이사 혁신해야 금융개혁 가능
금융지주회사 최고경영자 보수가 또 도마에 올랐다. KBㆍ신한ㆍ하나ㆍ한국씨티 4개 금융지주회사 회장들은 올해 상반기에만 평균 16억원의 보수를 챙겼다. 연봉으로 치면 30억원이 넘고, 휴일을 빼고 계산하면 일당 1000만원 이상을 받는 셈이다. 웬만한 직장인 몇 달치 월급을 하루에 받아가니 과도하다는 말이 나오는 것이다. 이들의 높은 연봉은 어제 오늘 문제는 아니다. 보다 못한 금융당국이 지난해 성과보상 기준을 제대로 지켰는지 따져보고 개선책을 마련하겠다고 했지만 역시 달라진 건 하나 없었다.

금융지주 회장들이 많은 연봉을 받는다고 무작정 탓할 수는 없다. 성과를 냈다면 그에 상응하는 과실을 챙기는 것은 시장 경제 논리에도 부합하는 일이다. 문제는 이들이 연봉 수준에 걸맞는 일을 하고 있느냐는 것이다. 미국의 월가 등 주요 금융시장에서는 최고 경영자들이 더러 수백억원의 천문학적 연봉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이들은 철저히 투자 결과와 경영 실적에 따라 보수를 받는다. 그러다 투자에 실패하거나 경영 성과가 현저히 떨어지면 급여를 한 푼도 챙기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반면 우리 CEO들은 어떤가. 이런 리스크와는 전혀 무관한 관리형 경영자일 뿐이다. 더욱이 낙하산으로 내려온 금융 최고 경영자에게 책임 경영을 기대하는 것은 연목구어(緣木求魚)나 마찬가지다.

지금 금융시장에는 근래 보기 드문 찬바람이 불고 있다. 실적은 반토막 나고 점포 통폐합 등 구조조정이 한창이다. 심지어 직원들이 거리로 내몰리는 일도 비일비재한 상태다. 그런데도 최고경영자의 터무니없는 고액연봉은 요지부동이라면 누가 납득할 것인가. 금융지주회사가 민간 기업이라고는 하나 금융 당국이 더 단호하게 대응해야 한다. 경영실적이 반영되도록 보수 규정을 정비하고 이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그래야 금융개혁을 가로막는 금융지주 회장 낙하산 논란도 일소할 수 있다.

차제에 손봐야 할 것은 권한만 있고, 책임은 없는 금융회사 사외이사 제도다. 우리는 KB사태를 통해 그들의 민낯을 확실히 보았다. 사태의 본질은 외면하고 눈치나 보며 특정 세력을 비호하다 당국과 여론의 압박에 못이겨 마지못해 회장 해임결정을 내리는 무소신과 무능 말이다. 그러고도 한번 회의에 나올 때마다 500만원 가량의 보수를 받았다. 일반의 상식에 반하는 보수체계는 회장이나 사외이사나 다를 게 없다. 금융 CEO 보수와 사외이사 혁신이 금융 개혁의 시작이다. 금융당국의 책임이 막중하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