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산림행정3.0이 뛴다] 산림행정은 ‘산림과학의 역사’다
[헤럴드경제(대전)=이권형 기자]산림재해 방지대책은 광복이후 시대상황에 따라 산림의 피해도와 행정적 역점사업에 따라 정책방향을 달리했다.

가정 에너지의 중요 자원이었던 1980년대까지는 산불ㆍ병충해ㆍ도남벌이 주요 3대 산림재해였으나, 요즘엔 시민의식 향상과 경제발전 등으로 산불ㆍ산사태ㆍ병해충이 산림재해에 속한다.

산불의 경우 지난 10년간 발생원인을 살펴보면 논ㆍ밭두렁 소각 등이 40%이고 입산자 실화가 31%를 차지하고 있다. 이제 한국은 녹화선진국으로서 임목축척의 증가에 따라 산불이 발생하면 풍부한 연료를 바탕으로 대형산불로 확대될 수 있어 신속한 대응체계가 필요하다.

산사태는 산림과 가까운 주거지에 토사류 등에 의한 인적ㆍ물적피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이에 대비한 과학적인 예측체계가 필요하며 산림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소나무재선충병, 혹파리, 깍지벌레 등 산림병해충으로부터 산림자원을 지키기 위한 효과적인 관리체계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산림청에서는 다양한 공간정보를 바탕으로 산림재해의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산림재해 통합관리체계 구축 및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수립(2013년 10월)해 추진 중이다.

’산림재해 통합관리체계”는 산림청에서 조사한 각종 산림정보를 한 곳에 모으고, 이를 효과적인으로 해석할 수 있는 정보체계를 만드는 사업이다. 올해 추진 중인 사업은 산림공간정보의 효과적인 관리ㆍ분석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림청 고유의 산불ㆍ산사태ㆍ산림병해충의 효과적인 대응 모델을 만드는 것이다. 내년부터는 지방자치단체 및 대국민서비스로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정보화전략계획 수립은 산불ㆍ산사태를 효과적으로 대응키 위해 관련 ‘정보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으로 이중 산불상황관제시스템은 몇 차례의 단계적인 개선을 통해 2010년부터 현장중심의 실시간 대응체계에 초점을 맞춰 산불 감시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산불의 현장대응체계는 전국의 산불 감시인력을 중심으로 현장위치정보 단말기를 이용해 산불 발생위치를 신속하게 알 수 있게 돼 있다. 이에 따라 초기 대응시간을 혁신적으로 개선해 산불 피해지역을 최소화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또한 문화재 및 송전선 위치정보 등을 함께 볼 수 있도록 구축해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산림공간정보를 기반으로 운영하고 있다. 산불 예측을 위해서는 숲의 나무종류ㆍ크기ㆍ밀집도 등을 알 수 있는 임상도가 사용되고 있으며, 산지의 방향과 경사도 등은 산림입지토양도를 통해 산불예측의 확산 경로 및 세기 등을 판단하거나 산사태 위험등급을 표현하는 알고리즘의 인자로 활용하고 있다. 그리고 원격 지휘를 위해서 항공사진과 위성영상 등을 이용하기도 한다.

현정부는 지난해 5월 ‘정부3.0’을 출간하면서 스마트정부(Gov3.0)의 구현방향으로 유능한 혁신정부(Sustainable Creative Government)를 제시한 바 있다.

정부3.0에서는 유능한 혁신정부를 만들기 위해 협업 및 집단 지성의 활용으로 정부정책의 품질을 개선하고 공공서비스의 개선을 주문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정부3.0 과제로서 추진되고 있는 ‘산림재해 통합관리체계 구축 및 정보화 전략 계획’은 예측과 분석을 통해 산림재해 등에 대한 발생을 예측하고 그 피해를 최소화 하자는 것이 요지다.

산림청 류광수 기획조정관은 ‘산림재해 통합관리체계 구축 및 정보화 전략 계획’은 각종 산림자원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통계적인 분석과 소셜서비스의 매쉬업을 통해 정부의 산림재해 관리능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kwonh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