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위안화 허브’ 성공 구축을 위한 전제조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을 계기로 원화-위안화 직거래 시장 개설 논의가 탄력을 받고 있다.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정부가 추진 중인 ‘위안화 허브’ 구축 시기도 앞당겨질 것으로 기대된다. 전세계는 지금 위안화의 글로벌 기축통화 가능성에 대비해 역외 허브를 만드는 데 혈안이다. 홍콩과 싱가포르, 타이베이 등 중화권에 이어 최근에는 영국이 합류했고 독일도 진행 중이다. 우리 역시 능동적인 접근전략이 필요한 때다.

직거래 시장만 개설돼도 기업들은 달러화 환전 없이 무역대금을 위안화로 결제해 최소 3~5%의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최근처럼 원화 절상 속도가 빠를 때는 위안화가 헷징 수단이 될 수도 있다. 허브가 구축되면 수출기업과 금융산업의 경쟁력은 물론 원화의 국제화에도 한 몫 할 수 있다. 여건은 충분하다. 위안화 무역결제 규모가 2010년 10억 달러에서 2013년에는 30억 달러 가까이로 매년 크게 늘고 있다. 우리 수출에서 중국 비중은 25%에 이른다. 그런데 위안화 결제규모는 2%에도 못미친다. 교역량 확대 속에 여행객들도 넘쳐 나 위안화 수요는 커질 수 밖에 없다. 두 나라는 3600억 위안의 통화스와프까지 맺어 혹시 모를 환(換) 리스크에도 대비하고 있다.

다만 위안화 허브가 성공적으로 구축되려면 몇 가지 전제조건이 있다. 우선 중국 경제에 대한 과도한 의존도 문제를 어떻게 풀어갈 지에 대한 밑그림이 필요하다. 아울러 최소 3년의 단계적인 마스터 플랜이 먼저 마련돼야 한다. 중화권 경제로의 예속을 피하기 위함이다. 글로벌 각축장이 된 청산결제은행 지정 문제도 간단치 않다. 스탠더드차타드 그룹 회장이 2일 청와대를 예방한 것도 시장 선점을 위한 노력의 한 예다. 중국계 은행의 독식을 견제하면서 우리 금융회사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는 게 과제다. 독일 연방은행이 청산결제기구에 각국 은행들이 주주로 참여하는 안을 제시한 것은 참고할 만 하다.

무엇보다 큰 과제는 우리 금융시스템의 업그레이드다. 위안화 허브는 우리 금융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 분명하다. 단순한 결제 차원을 넘어 고도의 투ㆍ융자와 파생 금융상품이 나올 것이다. 그러나 우리 금융산업은 덩치만 커졌을 뿐, 위안화 허브를 충족시키기엔 너무 낙후되어 있다. 전문성을 갖춘 인재도 턱없이 부족하다. 당연히 우리의 금융시스템 혁신 일정에 맞춰 허브 개설이 추진돼야 한다. 능동적으로 협의하되 주도권을 빼앗기지 않고 윈윈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들어 가는 게 중요하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