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주인도 찾고, 공적자금도 회수하고…두마리 토끼 잡을까
30% 일반·10%이하 희망경쟁 입찰…지방銀·증권 분리매각 부담 완화
최소 3조원 투입 입찰경쟁 미지수…금융권 “분산매각 형태로 갈 것”


네번째다. 지난 세번 모두 한명의 주주에게 우리금융지주의 경영권(지분 30% 이상)을 매각하는 방안을 시도했으나 모두 실패했다.

23일 정부가 발표한 우리은행 민영화 방안의 핵심은 정부 지분을 쪼개 파는 것이다. 경영권이 주어지는 지분과 투자차익 실현이 가능한 소수 지분을 따로 매각하는 ‘투트랙(two track)’ 방식이다.

그동안 매각안이 경영권 인수자 대상이었다면, 이번에는 경영권 뿐 아니라 투자차익을 희망하는 모든 투자 수요를 포함했다. 정부는 이를 통해 확실한 주인 찾아주기와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으려 하고 있다. 그러나 경영권 인수 희망자가 나타날지 여전히 미지수다.

▶어떻게 파나=이번 매각안의 특징은 경영권 인수를 원하는 전략적 투자자(SI)와 투자차익을 희망하는 재무적 투자자(FI) 등 모든 투자자가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이다. 또 금융지주회사와 은행 간 합병을 거쳐 소유규제가 적은 은행 형태로 매각하면서 잠재 투자자의 범위를 확대했다. 아울러 지방은행과 증권계열을 앞서 분리매각하면서 인수 희망자의 자금부담을 완화했다.

정부가 보유한 우리은행(현 우리금융) 지분은 56.97%. 이를 한명에게 모두 매각하기에는 부담이다. 우리은행은 자기자본이 19조원으로 정부 지분을 현재 시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주가순자산비율(PBR) 0.5배를 적용하면 매각액이 5조4000억원에 이른다.

정부는 이를 감안해 경영권을 확보할 수 있는 지분(30%)을 일괄매각할 ‘일반경쟁입찰’과 0.5% 이상 10% 이하 지분을 쪼개서 팔 ‘희망수량경쟁입찰’을 병행하면서 시장의 부담을 덜어준다는 방침을 세웠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다음달 우리금융을 우리은행에 합치는 합병 절차에 들어가면서 경영권 지분과 소수 지분의 분리 매각을 동시에 진행하는 동시분리입찰을 시작한다.

소수 지분 입찰은 경영권 지분을 빼고 남은 정부의 우리은행 지분 26.97%를 재무적 투자, 즉 주식매매차익을 노리는 투자자들이 원하는 만큼 가져가도록 하는 것이다. 매각 공고와 본입찰을 거쳐 올해 말 낙찰자가 선정될 예정이다.

입찰 방식은 매각 물량이 소진될 때까지 높은 가격을 제시한 입찰자 순으로 각자 희망하는 물량을 배분하는 희망수량경쟁입찰이다. 특히 1주당 0.5주가 유력한 콜옵션(정해진 가격에 추가로 살 수 있는 권리)은 재무적 투자자를 유인할 것으로 공자위는 기대하고 있다.

박상용 공적자금관리위원장이 23일 서울 중구 금융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공자위 전체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이날 공자위는 우리은행 매각 방안으로 정부 보유 지분 56.97% 중 30%는 일반경쟁입찰, 나머지 26.97%는 희망수량경쟁입찰을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박현구 기자/phko@heraldcorp.com]

▶매각 변수는=우리금융 관련기관의 공적자금 투입규모는 12조8000억원에 달한다. 올 2월 현재 회수금액은 5조8000억원(회수율 45.1%)이다. 지방은행 매각 대금(1조7000억원) 상환 시 미회수 공적자금은 5조4000억원 정도다.

이런 가운데 전문가들은 경영권을 확보할 수 있는 우리은행 지분 30%를 살만한 주체가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교보생명이 유일하게 물망에 오르고 있는 가운데 보험업황이 나쁜 상황에서 3조원 이상을 동원할 수 있을지 의문이란 얘기다.

또 일반경쟁입찰에서 단독 입찰하는 등 입찰 경쟁이 되지 않으면 유효 경쟁이 성립하지 않아 입찰 자체가 무산된다. 2010년 12월, 2012년 7월 유효경쟁을 충족하지 못해 민영화가 중단됐다. 신제윤 금융위원장도 최근 “지분 30%를 파는 일반경쟁에서 유찰될 경우 그것만 나중에 다시 팔면 된다”고 말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정부가 ‘주인을 찾아주겠다’면서 경영권 프리미엄을 얹어 팔려는 건 가격 때문이다. 분산매각하면 가격이 다운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결국 30%를 살수 있는 곳이 없어서 분산매각 형태로 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인 있는 은행이 없는데도, 정부가 공적자금 100% 회수를 목적으로 하면서 매각을 어렵게 만들게 있다는 지적이다.

박상용 공자위 위원장은 “통매각(지분 30%)을 장담할 수 없다. 그러나 5~6개월 후 특정 그룹(교보생명) 외 또다른 인수 희망자가 등장할 수 있다”면서 “경영권 매각이 유찰되면 이를 다시 통매각할지 희망수량경쟁입찰을 통해 분산매각할지 시장 상황을 보고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동석 기자/dsch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