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세계 인구 11%가 도시농부…‘한국, 선입견 벗어야’
[헤럴드경제 = 윤현종 기자] 유엔개발계획(UNDP)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도시농부의 수는 8억명. 2013년 기준 세계인구의 11%정도다. 이 중 6억명은 자체소비를 위해 도시에서 농사를 짓는다. 하지만 한국에서 도시농업은 여러 선입견에 막혀 상대적으로 확산하지 못한 상태다.

지난달 30일 서울에서 열린 ‘서울도시농업박람회 국제콘퍼런스’에선 해외 각국에서 추진 중인 도시농업의 사례가 소개됐다.

▶ 밭 일구는 도시들 = 회의에 참석한 캐나다 푸드칼럼니스트 제니퍼 커크롤 킹은 영국 런던의 한 도시농부 사례를 소개했다. 이 농부는 자신의 주택에 있는 5㎡ 규모 발코니(베란다)에서 1년간 식료품 83㎏을 수확한다. 자투리 공간을 활용한 결과다.

이는 영국에선 경작용 토지를 공유하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해진 결과이기도하다. 소위 랜드쉐어(Landshare)다. 인터넷 상에서 경작 희망자와 토지 소유자를 연결하는 방식이다.

5㎡ 규모 발코니(베란다)에서 1년간 식료품 83㎏을 수확하고 있는 영국의 도시농부 마크 스미스의 도시텃밭

이같은 방식 등으로 운영 중인 런던의 도시텃밭은 737개 정도다. 구획 수로는 3만6000개에 이른다. 런던시민 3만명이 임대텃밭 농사를 즐기고 있다. 런던 전체 가구의 14%가 자신의 집 정원에서 농사를 짓고 있다.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임대텃밭은 10년 이상을 기다려야 차례가 돌아올 정도로 인기가 높다.

미국 뉴욕은 ‘그린 섬 프로그램’이 유명하다. 이는 기존 도시텃밭 경작자들이 시유지를 무단점유해 경작하던 텃밭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시에 협조를 요청하면서 시작됐다. 도시텃밭의 재정지원은 연방정부의 지역사회개발기금을 활용한다. 현재 뉴욕에는 옥상에 텃밭을 둔 빌딩만 600개 이상이다. 서울(작년기준 옥상텃밭 총 123개)의 5배에 육박한다.

쿠바 아바나는 도시농업의 ‘선구지(地)’로 불린다. 이곳에서 소비하는 농산물 90%는 도심 및 시 근교에서 난다. 쿠바의 도시농업은 농업 노동자, 경작용 화단 조성 벽돌공, 행상인, 허브 가공업자, 퇴비 생산업자를 포함해 16만명의 새 고용을 창출하기도 했다.

지난달 30일 서울에서 열린 ‘서울도시농업박람회 국제콘퍼런스’에서 기조연설 중인 캐나다 푸드칼럼니스트 제니퍼 커크롤 킹

▶ “한국, 반대여론 설득방법 모색해야” = 한국의 도시농업은 해외에 비하면 넘어야 할 산이 적잖다. 이날 회의의 두번 째 기조연설을 맡은 김완순 서울시립대 교수에 따르면, 서울의 도시농업 참여자 수는 시민의 4.3%정도다.

95.7%는 도시농업에 반대하거나 참여하지 않고 있다. 반대 이유 대부분은 “냄새가 나거나 지저분할 것”, “미관상 깔끔하지 못할 것” 등이었다.

김 교수에 따르면 현재 서울 면적의 91.9%는 이미 개발됐거나 개발 중이다. 끊임없는 개발드라이브 속에서 한국인의 삶은 피폐해졌다는 분석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 세계36개국 중 26위 수준인 삶의 만족도는 그냥 나온 게 아니란 의미다. 대안적 삶의 모습으로 도시텃밭 가꾸기가 등장한 이유이기도 하다.

김 교수는 “(도시농업에 대한) 반대여론을 설득할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factis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