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건설경기發 국가위기 초래 우려…정부지원 · 구조조정 선도적으로 진행돼야
건설산업 활성화위해선…
올들어 건설수주는 다소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 건설수주는 전년대비 10.0% 감소한 91조3,000억원규모에 달한데 이어 올들어 공공중심으로 발주가 증가, 다소 긍정적이다.

토목수주가 늘어나고 민간주택이 회복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건설투자 또한 바닥을 치고 올라서는 분위기다.

지난해 건설투자는 2012년의 부진에 따른 기저효과와 정부 정책의 영향으로 2010년 1분기부터 2012년 4분기까지 11분기 연속 하락세를 마감하고 상승세로 전환했다. 주택거래가 소폭 늘어나는 가운데 발전소와 플랜트 기성의 진척과 추경예산안에 따른 SOC(사회간접자본) 예산 증대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이같은 일감증가와 부동산 경기회복은 오래갈수 없다는게 중론이다. 따라서 정부의 건설산업 합리화방안이 조속히 수립되어야할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업체수를 줄이기 위한 대안이 적극적으로 마련되고 소수지원체제와 업무 및 인력 구조조정이 동시에 진행되어야한다.

아울러 산업구조의 틀이 바뀌는 만큼 수요의 회복만을 기다릴수 없다. 주택중심에서 벗어나 전자 등과의 융복합체제를 마련, 기술집약적 산업으로 가속화시키고 새로운 영역의 개척이뤄져야한다. 또 궁긍적으로는 해외에서 승부를 띠울 대안마련도 시급하다.

공종별로 전문분야에 집중하고 차별화된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 역시 필요하다. M&A를 통한 아웃소싱도 적극 검토, 전략적 우위전략을 선도적으로 마련치않으면 현재 일본이 20년째 겪고 있는 건설산업의 붕괴여파를 우리도 답습할 수밖에 없다.

생존전략차원의 전략마련이 시급하다. 건설사들은 건설산업 저성장이 몰고 올 위기가 건설산업과 전 산업계를 넘어 국가 경제의 위기를 초래할수도 있다.

건설업계가 정부와 금융 당국, 금융권 등에 호소하는 건설산업의 미래 비젼이 내수에 더 많은 폐해를 끼치기전에 선두적으로 속히 마련되어야한다.

장용동 대기자/ch100@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