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데이터랩] 둘째이상 출생아 수 30년새 ‘반토막’
고령산모 늘고 사회 각박해져
자녀 두명이상 키울 엄두 못내

‘동생 없는 아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다자녀 기준이 ‘아이 셋’에서 ‘아이 둘’로 바뀐 지 오래다.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1.19명. 초저출산국이다.

4일 통계청의 ‘2013년 출생ㆍ사망통계’(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둘째아 출생아 수는 16만5900명, 셋째아 이상 출생아 수는 4만5300명으로 둘째아 이상으로 태어난 아이는 모두 21만1200명이다. 1981년만 해도 둘째 이상 출생아 수는 50만명을 넘었으나 1983년 42만여명, 1993년 34만여명, 2003년 24만여명, 2011년 23만여명, 2013년 21만여명으로 급감하는 추세다. 30여년 사이 둘째 이상 출생아가 50% 이상 줄어든 셈이다.

또 1981년에는 첫째로 태어난 아이(35만5314명)와 동생으로 태어난 아이(51만2085명)의 비율이 4대6으로 동생 쪽이 더 많았다.


그러나 2013년에는 첫째 출생아(22만여명)가 동생 출생아(21만여명)보다 많아졌다. 지난해 한국의 합계출산율(여자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초저출산국’에 해당하는 1.19명이다.

동생을 낳지 않는 현상은 늦은 결혼으로 고령 산모가 많아지고, 사회가 각박해지면서 아이 두 명 이상을 키울 엄두를 내지 못해서다.

지난해 산모의 평균 출산연령은 31.84세로 20년 전인 1993년 27.55세보다 4세 이상 높아졌다.

첫째아 산모의 평균연령은 30.73세다. 세계보건기구(WHO)가 고위험 임신으로 분류하는 ‘고령 임신자’의 기준이 35세인 점을 감안하면 30대 산모에게 ‘둘째 갖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양육환경에 대한 여성의 인식은 보육ㆍ교육비 같은 경제적 이유로 인해 갈수록 나빠지고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자녀 가치관과 출산행태의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 남편이 있는 15~44세 전국 기혼여성 4500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6.6%가 아이를 더 낳지 않겠다고 대답했다.

자녀가 없는 기혼여성 486명의 경우 11.9%만 추가 출산 계획이 없다고 답했지만, 한 자녀 기혼여성 1294명 중 60%, 두 자녀 기혼여성 2243명 중 95.7%, 세 자녀 기혼여성 414명 중 98.6%가 ‘동생’을 낳지 않겠다고 했다.

신창훈 기자/chuns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