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경제광장 - 김준환> 노벨상 수상자의 은퇴설계
연금, 은퇴후 필수 소득수단
60세이상 가입률 불과 5.7%

100세시대 노후안전판 보강 절실
청소년에도 연금중요성 가르쳐야


고령자들의 은퇴소득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는 개인연금이 제 역할을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주 보험개발원은 2012년 개인연금 가입자들이 800만명이라고 발표했는데 이는 전체 인구의 15.7%에 해당된다. 하지만 60세 이상의 고령자 가입률은 5.7%에 그쳤다.

그나마 우리 사회의 허브 세대인 베이비부머(1955~63년생)들이 23%로 확인돼 체면치레는 했으나 아직 미흡하다.

세계은행이 권하는 연금 3중 체계는 국민연금과 퇴직연금, 개인연금이다. 이 중 개인연금은 공적연금(국민연금)과 달리 의무 가입이 아니어서 가입률은 저조하고, 노후 안전망 이슈가 부각될 때마다 46%대에 머물고 있는 퇴직연금과 함께 집중 조명받고 있다.

낮은 출산율과 수명 연장으로 고령화가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국민들의 경각심과 함께 대책 수립도 절실하다.

1994년 세계은행은 ‘노년 위기’ 보고서에서 연금 3중보장 체계를 제안했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은 소득대체율이 은퇴 전 소득의 70% 수준이 적정하다고 권했다.

한국은 연금보장 체계가 10여년 전(1988년 국민연금, 1994년 개인연금, 2005년 퇴직연금)에 순차적으로 완료됐다.

공교롭게도 세계은행이 연금체계를 발표한 1994년은 국내 은행에 프라이빗 뱅킹 제도가 첫 도입돼 필자가 외환은행에서 PB를 하던 시기다.

20년 넘는 경험을 통해 터득한 것은 상담자 대부분이 매월 불입하는 ‘장기 적금(연금)’ 하나쯤 가입해 있었고 노후설계가 빠를수록 부자로 은퇴할 확률이 높고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는 거였다. 그들에게 연금은 에너지원으로 비타민인 셈이다.

기대수명이 100세인 상수(上壽) 세대에 걸맞은 노후설계는 무엇일까. 지난 8일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로버트 머튼 MIT 교수는 연금학회 주최 ‘은퇴자금 확보 전략’ 강연에서 “은퇴자금 설계 목표는 은퇴 전 소득수준을 퇴직 후에도 적정수준 유지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머튼 교수는 은퇴소득을 보수적(conservative) 목표와 희망(desired) 목표로 구분해 권했다.

현재 연소득 8000만원으로 소득대체율이 70%라면 목표 소득은 연 5600만원이 된다. 이 중 2000만원(보수적 목표)이 확정급여형(DB형, 고정급여로 퇴직금 지급) 연금과 국민연금으로 충당한다면, 부족한 3600만원(희망 목표)은 확정기여형(DC형, 운용실적 따라 퇴직금 지급) 연금으로 보충하고 장수 리스크용 장수보험 가입도 추천했다.

머튼 교수는 자산 포트폴리오와 파생 분야에 탁월한 공적을 남겨 1997년에 노벨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1994년엔 세계 최대 헤지펀드인 롱텀캐피탈매니지먼트사(LTCM)의 몰락사건에 파트너로 일확천금을 노리다 실패를 경험하기도 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11월 금융업 경쟁력 강화 방안에 100세 시대 신금융 수요 창출을 과제로 선정했다. 앞으로 일대일 맞춤자산관리가 붐을 이뤄 금융권 PB들도 바빠질 기세다.

새해는 새 다짐이 필요하다. 연금의 진미는 빨리 가입해 복리의 세계를 즐기는 것이다. 황금노후는 얼리버드에게만 돌아가는 신의 선물이기에 청소년들에게도 연금의 중요성을 가르쳐야 한다.

그래서 새싹들이 ‘연금이 미덕’이라는 제2 붐을 일으키고 이것이 제2 한강의 기적에 마중물이 돼야 한다. 그만큼 노후 안전판 보강이 절박하다.

김준환 IBK 100세금융연구소장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