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위크엔드] 2014 미술경매시장 기상도 ‘흐림 뒤 갬’
2013년 미술경매시장 최고의 화제는 연말에 있었던 이른바 ‘전두환 콜렉션’ 경매였다. 추징금 환수를 위해 국내 2대 경매사(서울옥션, K옥션)에서 진행했던 특별경매에선 낙찰률 100%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남겼고, 낙찰가 역시 예상금액을 훨씬 뛰어넘는 수준이었다. 그렇다면 2007년 최정점을 찍었던 미술경매시장이 다시 살아나는 것일까. 지난 연말에 발표된 한국미술시장과 경매시장에 대한 자료를 살펴보면 답은 ‘글쎄요’에 가깝다. 전문가들도 일회성 경매로 시장이 살아난다고 보기는 힘들다고 입을 모은다. 2014년 미술경매시장 기상도는 한마디로 ‘흐린 뒤 갬’이다.

▶국내시장 4400억원 수준…중국작가 전망 밝아=문화체육관광부 산하의 예술경영지원센터에서 지난 12월에 발표한 ‘2012년 미술시장실태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 미술시장 전체규모는 4400억원 수준이다. 2013년은 이보다 더 줄어들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미술시장 전체규모인 62조 2600억원의 0.7%에 불과해 폭발적 성장을 기대하긴 힘든 수준이며, 세계시장의 흐름에 영향도 많이 받는다.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69조 6000억원에 비하면 시장규모는 줄었지만 2012년 전세계 미술시장은 미국 경매시장의 활성화, 중국지역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 지역 미술시장 확장, 남아메리카와 북아프리카 등으로 신규 미술시장형성 등에 의해 성장세로 돌아서고 있다. 하지만 중국본토의 미술시장 규모 축소로 전체 세계 미술시장 규모는 전년(2011년, 67조 1000억원)대비 소폭 줄었다.

세계미술경매시장을 놓고 보면 중국작가에 대한 전망이 밝을 것이라는 결론이다. 2012년 전체규모는 30조 2600억원이며 작품판매금액 1위는 중국(41.3%)이다. 2011년 41.5%대비 소폭 하락했으나 여전히 1위를 지키고 있다. G2인 중국의 영향력이 미술시장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나는 대목이다. 최근 중국 작가의 약진에는 ‘자국 작가를 키우자’는 민족주의적 발상이 토대라는 것을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전두환 대통령 추징금 환수를 위한 특별경매에서 최고가를 기록한 이대원作 ‘농원’, 캔버스에 유채, 90×194㎝, 1987. [사진제공=서울옥션]
 
2013년 한국 미술품 경매회사 최고가 기록한 로이 리히텐슈타인作 ‘토마토와 추상’, 캔버스에 유채, 101×152㎝, 1982. [사진제공=서울옥션]

▶해외작가 선호 뚜렷ㆍ국내작가 거래액 ‘반토막’=사단법인 한국미술시가감정협회가 지난 12월에 발간한 ‘2013 국내 미술품 경매시장 결산 및 주요작가 KYS미술품 가격지수’을 보면 시장흐름이 좀 더 명확해진다. 국내 미술품 경매 낙찰가격 상위 100순위를 살펴보면 해외작가가 27점ㆍ국내 회회장르 56점ㆍ고미술품이 17점이다. 상위 10으로 범위를 좁혀보면, 해외작가에 대한 선호가 뚜렸하다. 국내 근현대 작가의 작품은 ‘전두환 경매’때 낙찰됐던 이대원의 ‘농원’이 유일하다. 국내 최고가를 기록한 로이 리히텐슈타인의 ‘토마토와 추상’(26억 4261만원)은 서울옥션 홍콩 경매때 거래된 것으로, 엄밀히 따지면 국내거래 최고가는 알베르토 자코메티의 ‘서 있는 여인’(13억 4000만원)이다.

낙찰총액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1위는 쿠사마 야요이(37억 9000만원), 2위는 로이 로히텐슈타인(33억 500만원), 3위는 김환기(32억 3000만원)로 해외작가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전체 낙찰총액은 720억으로 2012년 891억에 비해 100억원 이상 하락했다. 2012년엔 1,2,3위였던 김환기(79억 6000만원), 이우환(64억 9000만원), 박수근(51억 2000만원)은 낙찰총액이 반 이상 하락하며 고전을 면치 못했다. 더불어 낙찰가 상위 20위 안에 랭크된 국내외 주요작가 거래량을 별도로 구분해 보면, 20위내 국내작가는 12명으로 전체 낙찰가의 32.86%를, 해외작가는 8명으로 24.4%를 차지했다. 결국 상위권 작가 20명(46.52%)이 미술품 경매시장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셈이다. 국내작가로는 김환기, 이우환, 이대원, 김창열, 박수근, 김종학, 오치군, 천경자는 거래량이 비슷했고 정조, 겸재 정선과 백남준이 새롭게 순위에 합류했다. 해외작가의 경우 쿠사마 야요이, 데미안 허스트, 쩡판쯔 등 롱런하고 있는 인기 해외 작가들이 있는가 하면 알베르토 자코메티, 산유, 이가염 등의 작가가 합류했다. 

새롭게 떠오른 중국작가 산유作 ‘Pink Roseina Wihte Vase’, 캔버스에 유채, 65×50㎝, 1931. [사진제공=서울옥션]

알베르토 자코메티作 ‘서있는 여인’, 청동에 녹색과 갈색 파티나, 11×8.1×45.2㎝, 1961. [사진제공=서울옥션]

▶보합세 끝나나…우량작가 시장 견인=전문가들은 미술시장을 얼어붙게 만드는 요인으로 지목됐던 미술품 양도소득세에 대해서는 큰 영향은 없었다고 봤다. 1억원 작품 거래시 440만원 수준이라 큰 손 콜렉터들에겐 영향을 줄만한 수준은 아니란 분석이다. 내년 시장에 대해선 조심스럽게 낙관적인 전망을 내 놓았다. 2008년 리먼사태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로 국내 시장은 한동안 보합세를 유지했지만 하반기 몇 몇 작가들 작품이 상승하며 분위기가 나쁘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전두환 콜렉션 완판은 콜렉터층이 여전히 건재하다는 증거로 봤다. 스토리가 있는 작품 혹은 선호가 높은 작품은 꾸준한 거래가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했다. 서울옥션 관계자는 “특정한 모멘텀으로 시장이 살아난다고 보긴 힘들다”며 “다만 오랜 조정기간을 통해, 좋은 작가의 좋은 작품은 시장의 상황과 상관없이 꾸준하다는 학습효과가 생겼다”고 봤다. (사)한국미술시가감정협회 김영석 이사장도 “2007년 거품 논란이 일 정도로 그림 가격이 올랐고 그 뒤 5년 정도 조정기를 거쳤다. 시장이 양질화 됐다고 본다”며 상반기까지는 보합세 중반기 이후로는 현대미술을 중심으로 활성화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한빛 기자/vicky@heraldcorp.com

전두환 대통령 추징금 환수를 위한 특별경매 장면 [사진=헤럴드DB]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