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쉼표> 이태준
이태준의 꿈은 가난한 환자의 병을 치료해 주는 것이었지만, 1911년 세브란스병원의학교를 졸업할때엔 ‘대한제국 독립’으로 바뀌었다. 그는 의학교를 졸업하자마자 ‘대한제국 의사면허 92호’를 몸에 지닌 채 독립운동을 위해 중국으로 떠났다.

이태준은 난징에 ‘기독회의원’이라는 병원을 열어 현지에서 활동하던 독립투사와 독립군 부상자들을 돌보았고 1914년엔 몽골로 들어가 ‘동의의국(同義醫局)’이라는 병원을 개설한다. 동의의국은 몽골 주민들이 불치의 병으로 여기던 화류병 등을 고쳐주는 한편, 독립투사의 피신처, 독립을 위해 국제관계를 시도하는 아지트 역할도 했다.

그의 인술에 탄복한 몽골 황제 복드한은 이태준을 자신의 주치의로 초빙했고, 최고훈장을 주었다. 하지만 그는 1921년 독립운동 자금을 운반하던 중 러시아 내 친일세력에 의해 피살당하고 만다. 몽골정부는 자신들의 성지인 자이승 전망대 인근 양지바른 곳에 이태준 의사의 묘역을 조성했다. 가히 최고의 예우이다.


몽골과의 의료 교류는 최근까지 이어져 가천대 길병원, 성균관대, 이화여대, 인하대, 전남대, 중앙대병원, 울산 시티병원 등이 몽골 의료봉사 활동을 펼쳤다. 한림대팀은 몽골 대법원장을 치료해 몽골발 ‘의료 한류’ 바람을 일으켰다. 2008년 한림대, 2012년 고려대 병원에 이어 최근 경희의료원은 몽골인 의학도를 국내에서 배출하기도 했다.

오는 11월 21일은 대암(大岩) 이태준 선생이 태어난지 130주년 되는 날이다. 이제 몽골인 스스로 이태준의 뜻을 이어갈 수 있게 된 것이다. 몽골인들은 한국을 솔롱고스(Solongos: 무지개)라고 부른다. 한국에서 몽골로 이어진 희망의 무지개가 아름답다.

함영훈 미래사업본부장/ab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