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악! 심장이”…학교 · 지하철 ‘응급장비’ 이용법을 아시나요
공공기관 등 자동제세동기 설치
심폐소생술 등 대처법 교육 필요


날씨가 갑자기 추워지면서 급성심정지 환자가 늘고 있어 심폐소생술이나 자동제세동기(자동심장충격기) 사용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달 29일 오후 6시께 서울 광진구 구의동의 한 가정집에서 A(75) 씨가 갑자기 쓰러졌다. 고혈압 증세가 있던 A 씨는 화장실을 간다며 일어섰다가 호흡곤란을 일으켰고, 심정지 상황에 이르렀다. 가족은 놀란 마음에 우왕좌왕하다 119에 신고를 했다. A 씨는 긴급히 출동한 구급대에 의해 심폐소생술을 받고 병원으로 후송됐지만 이틀 후 사망했다. 쓰러진 A 씨를 처음 목격한 가족이 응급 심폐소생술을 먼저 했더라면 A 씨의 생존율은 높아졌을 것이라고 구조관계자는 말했다.

반면 지난 8월 27일 오후 7시께 한양대 농구장에서 운동을 하던 직장인 B(35) 씨가 급작스럽게 기절했다. 의식을 잃어가던 B 씨는 곧 심정지를 일으켰다. 다행히 이 학교 보안직원이 인근에 구비된 자동제세동기를 떠올리고 이를 가져왔다. 때마침 도착한 구급요원 등의 적절한 조치로 B 씨는 별 이상 없이 건강을 되찾을 수 있었다.

이처럼 똑같은 심정지 상황이라 해도 심폐소생술 방법이나 자동제세동기 사용법 등 대처요령을 잘 알아두고 시행하면 위험에 빠진 목숨을 구할 확률은 크게 높아진다.

하지만 통계상 우리나라 급성 심정지 발생자 2만7823명(2011년 기준) 중 일반인 목격자가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비율은 6.5%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수치는 스웨덴 55%, 미국 30.8%, 일본 27% 등 다른 나라와 비교했을 때 현저히 낮은 수치다.

2007년 12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라 공공기관 및 다중이용시설에 심폐소생을 위한 응급장비 구비의무가 신설되면서 복지부는 2009년부터 현재까지 자동제세동기 등 응급장비 설치예산으로 92억원을 집행했다. 이에 따라 대학교나 지하철, 공공기관 등에 자동제세동기가 설치돼 있다.

그러나 초기 단계라는 이유로 제대로 된 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또 홍보와 교육 부족으로 일반시민은 자동제세동기의 존재를 모르거나, 이용방법을 잘 모르는 실정이다.

김현숙 새누리당 의원은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심장자동제세동기 실태현황’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보건복지부가 전국 곳곳에 설치한 4874대의 심장자동제세동기 관리를 소홀히 하고 있다. 주무부처의 정확한 실태조사와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광진소방서 한 관계자는 “일반시민의 응급처치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도 개선돼야 할 부분이다. 교육을 나가도 시간 때우기로 응하는 사람이 많은 게 현실”이라고 전했다.

황유진 기자/hyjgog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