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구체화된 양적완화 출구전략, 세밀한 대비를
미국의 양적완화 출구 전략 윤곽이 조금은 더 선명해졌다.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19일(현지시간) 발언은 ‘어떠한 힌트도 없었다’는 지난달 22일 미 의회에서의 언급보다 분명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는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6월 정례회의를 마친 뒤 “우리의 예상대로라면 FOMC는 올해 말부터 양적완화 속도를 완화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또 경제지표 개선을 전제로 “내년 상반기까지 양적완화 규모 축소를 지속해 중반께는 아예 중단할 것”이라고도 했다. 연내 경기부양책 축소를 기정사실화한 것이다.

곧 돈 줄을 죄겠다는 버냉키 의장의 언급에 글로벌 금융시장은 또다시 요동을 치고 있다. 장중 발언을 접한 미국 증시는 대폭락했다. 다우존스지수와 나스닥종합지수 모두 1% 넘게 내렸으며 10년만기 국채 금리는 1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달러 가치도 급등했다. 곧이어 20일 오전 문을 연 아시아 시장 사정도 마찬가지다. 지난 13일 대폭락에 버금가는 예정된 충격이 또 닥친 것이다.

고래 싸움에 등이 터지는 건 새우다. 미국은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기부양을 위해 돈풀기와 초저금리 정책으로 일관했다. 지금도 Fed는 매월 850억달러어치의 채권을 사들이고 있다. 이렇게 풀린 달러는 금리가 상대적으로 좋은 신흥국 금융시장으로 몰려들 게 마련이다. 그러다 이를 중단하거나 축소하면 돈은 다시 빠져나간다. 신흥국 시장 충격이 더 큰 이유다. 물론 우리도 여기서 자유로울 수 없는 상황이다.

금융시장이 휘청거리면 돈이 제대로 돌지 못해 실물 경제는 더 큰 충격을 받게 된다. 겨우 회복 기미를 보이고 있는 지구촌 경제가 다시 고꾸라지는 건 아닌지 걱정이다. 바람직한 것은 세계 금융시장의 충격을 최소화하는 질서 있는 출구전략 가동이다. 하지만 자신의 코가 석자인 미국 금융당국이 거기까지 배려해주길 기대하기는 어렵다.

양적완화는 반짝효과는 가져올 수 있지만 정상적인 통화정책은 아니다. 돈의 힘으로 경기를 받치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그 거품도 곧 꺼지게 마련이다. 결국 선진국의 양적완화는 한시적이며 중단 이후 대비는 우리 스스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미국과 일본 등 주요국 경제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되 특히 단기 해외자본의 흐름을 철저히 파악하고 대책을 마련해 놔야 한다. 이런 돈은 퇴각을 시작하면 순식간에 빠져나가 금융시장 혼란을 가중시키기 때문이다. 이미 징후들이 감지되고 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