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영란 선임기자의 art&아트> 온갖 빛깔 담아낸 연필선…시대의 쓸쓸함을 담다
연필화가 원석연 20일부터 10주기 추모전
전쟁의 참담함·인간내면 표현 ‘개미’
민초들의 고단했던 삶 그린 ‘가위’
척박한 시대상 배어있는 ‘굴비두름’

뛰어난 데생능력·진지한 조형세계
연필 특유 색감·표현의 극점 보여줘



아마도 돈을 생각했다면 이런 그림을 안 그렸을 것이다. 명성을 생각했어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원석연(1922~2003) 화백은 그랬다. 그는 육십평생 연필그림을 고집했다. 더구나 연필로 시대정신을 오롯이 드러냈다. 그의 10주기를 맞아 잊혔던 작가가 다시 태어났다.

▶”연필 선에는 음(音)과 색(色)이 있다. 그리고 고독도…”=고(故) 원석연 화백은 연필오채론을 펼쳤다. 생전에 그는 “연필의 선에는 저음, 고음이 다 있다. 색도 있다. 그 색은 따사로운가 하면, 슬프고, 고독하기도 하다”.

동료들 사이에 ‘괴벽이’ ‘대꽂이’로 불렸던 화가 원석연. 흰 종이에 연필로 개미 한 마리를 그려놓곤 같은 크기 유화작품과 동일한 값이 아니면 안 팔았고, 꼬박 며칠간 매달린 초상화를 고객이 고쳐달라하자 그 자리에서 찢어버린 불 같은 성정의 소유자, 이 괴짜 작가의 10주기를 맞아 그를 재조명하는 전시가 20일 서울 통의동 갤러리아트사이드에서 개막된다.

원석연은 한낱 보조적 도구로 여겨졌던 연필로 대상의 질감과 양감을 자유자재로 표현했다. 그의 작업과정을 지켜봤던 작가들은 “연필을 굴리는 게 신기와 같았다. 연필로 온갖 빛깔을 다 냈다”며 혀를 내둘렀다.

황해도 신천 출신인 그는 아홉살 때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그림을 보고 ‘화가의 길’을 다짐했다. 그리곤 15세에 일본으로 건너가 미술학교를 다녔다. 그는 “누가 뭐래도 나는 연필 하나로 완성된 회화세계를 구축할 수 있다”며 연필화의 세계로 빨려들어갔다. 이후 그는 이 땅의 연필화를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원석연 화백의 연필화 ‘죽은 새’(1975·35x43㎝). 사냥꾼들이 참새를 잡아 실에 옭아맨 모습을 세밀하게 그린 작품이다. 연필화의 한 정점을 보여주며, 인생의 허무함도 전해준다.                                                                           [사진제공=아트사이드]

▶삶의 진솔한 지점에 애정을… 명성 안겨준 개미그림=원석연에게 2B연필(4B연필은 너무 무르고, 값도 비싸 2B를 썼다)은 대상을 그대로 비추는 거울을 넘어, 현대적인 조형성과 깊은 철학세계로 이끄는 도구였다. 뛰어난 데생능력과 남다른 구성력, 진지함에서 발현된 조형세계는 연필이 지닌 다양한 색감과 표현의 극점을 보여주었다.

표현하기 까다로운 대상을 연필만으로 형상화한 작품은 그가 대상을 얼마나 깊은 애정을 갖고 관찰했는지, 또 대상에서 느낀 정신적 감흥까지 담으려 했는지 알 수 있다. 이를 테면 가위나 도끼, 부엌칼 같은 투박한 기물을 그린 그림에선 기물을 사용했던 민초들의 고단했던 삶의 체취가 전해진다.

원 화백은 전쟁의 상흔이 채 가시지 않은 1950년대에 서울과 부산에서 네 차례나 개인전을 가졌다. 이중섭과 교유한 것도 이때로, 현실세계의 냉혹함을 뱀, 개미, 병아리, 닭을 통해 은유적으로 표현했다. 

세밀한 표현과 긴장감 넘치는 수직구도가 특징인 ‘굴비’(1986·36x49㎝).

원석연의 이름이 일반에 각인된 것은 ‘개미’ 연작 이후다. 실물 크기로 정밀하게 그려진 수백, 수천 마리의 개미가 떼지어 움직이는 모습은 보는 이로 하여금 탄성을 불러일으켰다. 탱크의 바퀴자국이 깊게 파인 길엔 누군가의 고무신 한 짝이 나뒹굴고, 다리와 몸통이 짓이겨진 개미떼는 전쟁의 참혹함을 말해주고 있다.

이후 원석연은 미국 볼티모어, 로체스터 등에서 개인전을 열며 갈채를 받았다. 1970년대에는 접으로 묶인 마늘, 두릅에 엮인 굴비, 도마 위 토막 난 생선, 깨진 달걀, 담배 등을 그리며 연필묘사의 가능성을 극한까지 밀고나갔다.

그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총애를 한몸에 받았다. 단출하다못해 너무나 척박한 대통령의 생가도 그렸다. 대통령은 그의 전시를 찾아 작품을 직접 매입하기도 했다. 전시는 7월 28일까지. (02)725-1020

yr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