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싱가포르 ‘페라나칸’…다문화 시대 한국에 주는 의미
[헤럴드경제=박동미 기자]중국식 복장을 한 신랑과 말레이 전통 의상을 입은 신부. 유창한 영어를 구사하며 테니스를 즐기는 동남아인…. 인종과 나라는 달라도, 어느덧 우리에게도 낯설지 않은 모습이다. 다인종ㆍ다문화 시대로 접어든 한국에 아주 특별한 전시회가 찾아온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싱가포를 관광청과 함께 싱가포르의 혼합문화인 ‘페라나칸’을 조명한다.

국립중앙박물관은 17일 ‘싱가포르의 혼합문화, 페라나칸’ 특별전을 오는 19일부터 5월 19일까지 상설전시관 1층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페라나칸은 말레이반도와 인도네시아 여러 섬에 정착한 중국계 이주민과 현지 주민 사이에 형성된 혼합문화를 지칭한다.

아시아문명전 일환인 이번 기획전에는 싱가포르의 국립문화유산위원회(NationalHeritage Board)와 아시아문명박물관(Asian Civilisation Museum) 소장품 230점이 선보인다.

박물관측은 “싱가포르에 정착한 중국계 페라나칸 문화가 어떻게 융화ㆍ발전해 싱가포르를 세계화시켰는지 알 수 있다”며 “이러한 문화 수용은 다문화 시대를 맞이하는 우리 사회에 미래지향적인 메시지를 가져다줄 것”이라고 전했다. 

자수와 구슬공예로 장식한 화려한 예복

페라나칸(Peranakan)은 말레이어로 아이를 뜻하는 아나크(anak)에서 유래한 말로 해외에서 이주한 남성과 현지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 후손을 뜻한다. 해상무역이 발달했던 동남아시아에는 아랍인이나 인도인, 또는 유럽인들로 구성된 다양한 페라나칸 공동체가 형성됐다. 이 중에서도 중국계 페라나칸이 다수를 점했는데, 남성은 바바(baba), 기혼 여성은 뇨냐(nyonya)라고 불렀다.

이번 전시회는 싱가포르에 정착한 중국계 페라나칸들이 상이한 문화요소들을 어떻게 수용하고 혼합해 독특한 양식으로 토착화했는지를 5부로 나누어 살펴본다.

제1부는 ‘믈라카에서 온 신랑 신부’로 꾸민다. 신랑은 중국식 복장을 하고 신부는 자수와 구슬공예로 장식한 화려한 예복<사진>을 입은 채 관람객을 맞는다. 12일간 거행되는 페라나칸 혼례의 첫날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코너다.

침대

제2부 ‘페라나칸의 혼례 : 중국의 영향’에서는 혼례 준비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혼례침실을 재현해 소개한다. 혼례 침실은 페라나칸 공예미술의 정수이자이번 전시의 하이라이트에 해당한다고 박물관은 소개했다. 침대<사진>와 장신구<사진> 등을 통해 아름답고 화려한 페라나칸의 혼례문화를 엿볼 수 있다.

이어 3부는 ‘뇨냐의 패션 : 말레이의 영향’을 정리한다. 페라나칸 여성은 말레이 전통 복식인 사룽(sarong)과 케바야(kebaya)를 착용한다. 이에다가 케로상(kerosang)이라 부르는 화려한 보석 장신구를 더한다.

제4부 ‘서구화된 엘리트 : 유럽의 영향’에서는 무역상이나 도시사업가로 유럽 문화를 적극 수용한 페라나칸의 면모를 살핀다. 서구식 주택을 지어 거주하고 영어를 배우고 서구식 복장을 하며, 테니스나 크리켓을 즐기는 이들은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고자 초상화를 제작했다. 20세기 초 싱가포르의 저명인사였던 송옹시앙(사진ㆍ1871~1941)의 초상화를 보면 양복을 입고 훈장을 착용한 모습과 성경이 보인다.

마지막 5부는 ‘페라나칸 공예미술’를 위한 섹션이다. 특히 페라나칸 공예미술을주도한 여성들의 자수와 구슬 세공품, 그리고 신부용으로 따로 주문제작한 도자기인 뇨냐자기(nyonyaware)를 만난다.

pdm@heraldcorp.com 

[사진=국립중앙박물관ㆍ싱가포르관광청 제공]

장신구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